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용호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국립민속박물관 민속학연구 민속학연구 제39호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291 - 314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is targeted with the discussions of UNESCO which focused on the Gangneung Danoje for ten years. I have discussed several notable points which are shown the Gangneung Danoje under UNESCO regime. This discussion begin with a definition of UNESCO regime. And I discuss UNESCO regime is formed in what background and orientation. Subsequently, I examine the controversies which connected with the Gangneung Danoje under UNESCO regime. On condition that UNESCO regime is not fixed, I have examined the reason of the change from the Masterpieces of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to the UNESCO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the ownership disput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n condition that UNESCO regime is not fixed. Through those discussion, I mention a role of the Gangneung Danoje perform directly or indirectly under UNESCO regime. Thirdly, I discuss the orientation of the Gangneung Danoje. In here, I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ientation of UNESCO and the orientationof the Gangneung Danoje which impose tradition, history, original through a return of locality.

목차

1. 논의 방향
2. 유네스코 체제의 성립과 그 배경
3. 유네스코 체제 논란의 진원지 강릉단오제
4. 유네스코 체제의 지향과 강릉단오제의 지향
5. 논의 정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380-002116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