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읽기/독서 교육과정의 내적 논리와 개정 방향
3. 읽기/독서 교육과정에서의 논쟁점
4. 제언 : 맺음말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독서 · 작문 교육에 대한 교육과정사적 성찰과 전망
국어교육연구
2016 .02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제 연구
이중언어학
2020 .01
중국 고등학교 개정 『사상정치』 교육과정 연구
재외한인연구
2021 .06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 문제와 현장 중심 교육과정 정책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 .01
초등영어 핵심성취기준과 읽기능력의 정합성 분석
언어과학
2016 .01
사회적 독서로서 ‘함께 읽기’의 사례 연구 : 문학 텍스트 함께 읽기의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4 .06
나라 갈배움길 고치기에 생각 보태기 -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소고
동남어문논집
2020 .01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독서연구
2019 .01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교육연구
2016 .10
중학교 영어 교과서 읽기자료 구성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언어학
2015 .01
(Non-)Identity Reading Factors of an English Canonical ATB Construction under the Box System
영어학
2024 .01
의미 중심 읽기 지도법이 중학생 영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영향
영어학
2022 .01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세계사
역사교육논집
2016 .01
A study of Korean EFL students’ L2 reading attitude: Its relationship with L1 reading attitude
영어교과교육
2020 .01
Motivation for L2 Reading and Its Relationship with Reading Amount in a Korean EFL University Setting
현대영어교육
2024 .03
평가 상황에서 문학 작품 읽기에 대하여 -문학에게 과학처럼 말 걸기
한국언어문학
2015 .01
‘꼼꼼하게 읽기(close reading)’의 재조명: 독서 이론과 교수학습 측면의 의미를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5 .01
국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현장으로부터의 질문과 도전 - 교육과정 기획자로서의 교사의 출현 -
문학교육학
2022 .03
한국어 읽기 동기가 읽기 전략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언어과학
2022 .11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과 결과에 대한 비판적 고찰 - 2009 개정에서 2015 개정을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