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재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김윤영
저널정보
중국어문논역학회 중국어문논역총간 中國語文論譯叢刊 第40輯
발행연도
2017.1
수록면
267 - 300 (34page)
DOI
10.35822/JCLLT.2017.01.40.26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중국어문법학계에서 ‘Pre+NP+X’구조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래로 대부분의 학자들은 후치성분으로 사용되는 ‘来说, 看来, 起见, 起, 为止’ 등이 문법화된 성분이라는 점에 동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통시적 고찰은 현재까지 그다지 많지 않아 연구가 필요한 영역인데, 본고에서는 이 중 ‘来说’의 문법화과정과 기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来说’의 문법화과정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본 후, 宋代부터 清代까지의 대표적인 문헌인 《朱子语类》, 《金瓶梅词话》, 《水浒传》, 《醒世姻缘传》, 《初刻拍案惊奇》, 《二刻拍案惊奇》, 《红楼梦》, 《兒女英雄传》, 《儒林外史》 등 9종과 民国时期의 鲁迅, 老舍, 钱钟书의 작품, 當代의 余华, 王朔의 작품에 출현하는 예문을 전수조사하여 ‘来说’의 문법화과정과 기제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来说’는 宋代에 ‘S+Pre+NP+来说+(X)’문형에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来’는 동사에서 전치사구와 동사를 연결해주는 ‘연결조사’로 문법화되었고, ‘说’는 여전히 동사 의미로 사용되었다.
둘째, 清代〜民国时期에 이르러 ‘S+Pre+NP+来说+VP / Pre+NP+来说+S+VP’ 문형의 출현으로 후속성분의 위치에 화자의 견해나 관점을 나타내는 ‘VP, S+VP’가 출현하면서 ‘연결조사 来+동사 说’는 ‘준조사 来说’로 재분석되었다.
셋째, 當代에 이르러 ‘Pre+NP+来说’구조에 출현하는 전치사가 ‘对(于)’로 단일화 되었고, ‘Pre+NP+来说’의 의미기능이 ‘한정대상’으로 전문화되었으며, 판단근거를 나타내는 기능은 ‘Pre+NP+看来’가 전문적으로 담당하게 되었다.

목차

국문제요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來說’의 문법화 과정과 기제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820-002048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