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제요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來說’의 문법화 과정과 기제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기 도시지역 가도이농탁아소(街道里弄託兒所)의 특징 : 상하이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018 .12
동아시아 역사 속의 5 · 4운동 - 反帝運動으로서의 5 · 4운동 연구의 검토와 제언 -
중국근현대사연구
2019 .09
会話文から見た「だろう」の働き
일본어문학
2015 .01
汉字造成词语“重新分析”
중국어문학
2017 .01
후치성분 ‘起见’의 문법화 연구--‘Pre+NP+起见’구조를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2019 .01
A reanalysis of intonational structure of Chonnam Korean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9 .06
祝詞(のりと)․宣命(せんみょう)의 助詞
일본어학연구
2021 .06
중세 일본의 논어 훈독에 나타난 조동사 고찰 - 과거·완료의 조동사를 중심으로 -
일본어학연구
2022 .03
중일전쟁발발 전후 중국의 대외 군수물자 확보
중국근현대사연구
2023 .09
Discussion about Word Formation Processes of English and Korean
새한영어영문학
2019 .11
동남방언 ‘쬐-(쬐다, 陽), 쪼-(쪼다, 琢), 줍-(줍다, 拾)’의 재구조화 - 청송지역어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0 .09
중세 일본의 논어 훈독에 나타난 なり・たり 고찰
일본어학연구
2022 .09
韩国学生汉语“吧”的语际偏误分析
중국언어연구
2015 .11
The Origins of /h/-Final Nouns in Middle Korean
어학연구
2023 .12
학생들의 글짓기에 존재하는 대상토 사용의 오유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20 .09
조선어 보조사‘ 도’의 한어번역 연구
중국조선어문
2023 .11
보조사 ‘이나’와 ‘이라도’의 의미차이 연구
중국조선어문
2022 .07
「助言」研究の概観と今後の課題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23 .09
‘語助詞’의 정의와 문법적 의미범주에 관한 小考 - 2009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漢文古典硏究
2015 .01
팀티칭을 활용한 중국어 어법 수업모형 설계 연구 ―조사 "了"를 실례로
중국학논총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