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조은정 (경상대학교)
저널정보
언어과학회 언어과학연구 언어과학연구 제78집
발행연도
2016.9
수록면
347 - 380 (34page)
DOI
10.21296/jls.2016.09.78.347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Epiphany means a sudden manifestation, and in literature, it is related to revelation, clarification, or realization in a vulgarity of speech or of gesture. If epiphany in literature can be instrumental for enlightening readers by giving them a chance to look at something differently, the mechanism of how it works in the reader’s mind can be explored from a cognitive perspective. The basic mechanism of conceptual metaphor and conceptual metonymy is based on the notion of understanding something in terms of another. A cognitive approach to literary texts not only deals with how readers interact with fiction, but it also deals with how this interaction is possible. By using cognitive tools such as conceptual metaphor, conceptual metonymy and conceptual blend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epiphanic scenes in the short story “Two Gallants” from Dubliners and aims to show how the characters as ordinary Dubliners, Corley, Lenehan, and a slavey, can stand for the oppressing power, the mimicker of the oppressor, and the slavery in the miserable reality of the colonized Ireland, respectivel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두 한량」의 등장인물 및 이피퍼니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700-00162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