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지연 (홍익대학교) 이영수 (홍익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5권 제5호 (통권 제118호)
발행연도
2016.10
수록면
157 - 166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various kinds of emptiness that are shown in the empty space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Architecture creates the usefulness of a certain space thanks to its emptiness. The word, ‘Emptiness’ has the following meanings, ‘non-fulfillment’, ‘non-existence’, ‘emptiness’, ‘blankness’, ‘non-visibility’ and ‘non-limitation’, etc. Such concepts of emptines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ideological emptiness’, ‘aesthetic’ and ‘architectural spatial’. Comparisons regarding such concepts of emptiness as they are expressed in the architectural space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shall be identified in this study.
Hyo-sang Seung tried to leave numerous open possibilities which can contain everything into a certain space since ‘emptiness’ is not being used at this moment. Louis I. Kahn tried to contain into a space the essence and silence of that space before something that exists is created.
The ‘emptiness’ created by Hyo-sang Seung and Louis I. Kahn is a specific space which can contain more kinds of non-visible spaces than some visible ones. Thus, such spaces may contain various potentials which are possible because they are empty, because of changes in nature and time, and because of silence and intentions going beyond an artist’s original intent.

목차

Abstract
1. 서론
2. “비어있음’의 개념 고찰
3. 승효상, 루이스 칸의 비어있음
4. 승효상, 루이스 칸 비어있음의 작품비교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619-001662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