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신(新)호문쿨루스의 시대
데이터 시민 구보씨의 하루
저항하는 인문학
기본 소득의 실현과 데이터노동
데이터사회에 대응하는 인문학의 8대 논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그들의 일그러진 인문학
제3시대
2016 .10
빅데이터와 인문학의 미래
문명과 경계
2020 .12
‘인문학적 상상력’이 인문학을 죽인다
인물과사상
2016 .12
얼굴 없는 시대의 매체인문학
자음과모음
2023 .09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 정부와 시민사회의 두 인문학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015 .06
빅데이터로 시대 읽기
성서마당
2022 .03
죽은 신의 인문학
제3시대
2018 .07
손해와 인문학
철학과 현실
2015 .12
‘도시인문학’ 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 도시인문학 담론의 계보학
황해문화
2015 .03
인문학협동조합 : 삶과 앎, 노동을 잇는 젊은 인문학자들의 실천과 실험
문화과학
2018 .09
인문학은 대학에서 어떻게 붕괴되었는가?
인물과사상
2016 .03
인문학에서 ‘과학적’ 담론의 형성
서양 역사와 문명 총서
2022 .07
‘이후’의 인문학, 융합의 교차점에서
횡단인문학
2018 .02
정부 지원이라는 이름의 인문학 죽이기
인물과사상
2016 .05
‘로컬리티의 인문학’은 과연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가? : 『로컬리티 담론과 인문학』 (문재원 외, 소명출판, 2017)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농촌에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인문논총
2021 .08
인문학의 성과 확산, 어떻게 할 것인가
국어문학
2016 .11
지옥의 인문학
자음과모음
2015 .12
인공지능과 인문정신: 디지털시대의 인문학대중화사업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