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사회정책 비판론
3. 사회정책 긍정론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탈성장과 맑스의 사회이론
비판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0
맑스에서 다시 시작하기
뉴 래디컬 리뷰
2021 .03
맑스와 정의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9 .12
[편집자의 글] 맑스 탄생 200주년, 맑스‒레닌주의를 견지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자!
노동사회과학
2018 .11
맑스 탄생 200년, 새로운 믿음과 실천
뉴 래디컬 리뷰
2018 .07
맑스주의 이후의 ‘맑스’, 어떻게 읽을 것인가?
뉴 래디컬 리뷰
2022 .12
탈성장사회론과 맑스의 사회이론의 결합가능성에 대한 검토: 생산력주의와 성장주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2021 .02
인식론·논리학으로서의 변증법에 관한 맑스-레닌주의적 견해
노동사회과학
2023 .05
맑스와 뒤르케임의 딜레마와 자연주의 사회과학의 가능성
한국사회학
2015 .02
맑스의 코뮤니즘, 그 고유성과 현재성
뉴 래디컬 리뷰
2018 .07
[탐구] (포스트맑스주의 세계에서) 맑스를 다시 생각하기 (2)
월간 좌파
2016 .07
맑스의 《자본론》에서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2)
노동사회과학
2021 .11
맑스의 ≪자본론≫에서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1)
노동사회과학
2021 .05
맑스의 《자본론》에서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4)
노동사회과학
2022 .11
맑스의 ≪자본론≫에서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3)
노동사회과학
2022 .05
맑스와 뒤르케임의 ‘실재론’적 귀환을 환영한다 : 『통합적 인간과학의 가능성: 맑스와 뒤르케임의 실재론적 귀환』 김명희, 2017. 한울 아카데미
한국사회학
2017 .08
헤겔과 맑스를 읽는 기묘한 방식 - 알튀세르와 들뢰즈의 경우
노동사회과학
2019 .11
“말이 칼이 될 때”, 어떤 ‘칼’을 댈 것인가 : 홍성수(2018), 『말이 칼이 될 때』, 어크로스
교양학연구
2018 .06
칼의 노래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탐구] (포스트맑스주의 세계에서) 맑스를 다시 생각하기 (1)
월간 좌파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