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얻은 것은 이데올로기, 상실한 것은 예술 자신`
2. 보편자의 잔혹성과 개별자로서의 작가
3. `잃은 것은 예술 자신` _ `동지애`와 `증오애`(hurting love)
4. 이념을 포기한 좌파 작가에게 남은 것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당선소감] 추리소설을 향한 짝사랑, 그리고 동지애
계간 미스터리
2020 .12
분노의 글쓰기, 증오의 글쓰기
인물과사상
2019 .02
왜 한국 개신교는 `동성애`를 증오하는가?
인물과사상
2016 .01
증오, 폭력, 고발 : 반지성주의적 지성의 시대
황해문화
2017 .03
다문화인권교육을 통한 증오범죄 대응방안: 프랑스의 이민 2,3세의 증오범죄 사례 중심으로
민족연구
2019 .01
증오와 공포의 정치·종교 에토스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일고찰: 미국 복음주의와 폭스뉴스, 그리고 트럼프를 중심으로
신학과 사회
2020 .01
‘어머니 찾기’의 두 시선, 가부장적 신성화와 탈가부장적 환상화
서강인문논총
2019 .12
백수 청년을 둘러싼 감정 구조와 증오의 전복 - 2000년대 한국 장편소설을 중심으로 -
영주어문
2021 .10
사랑의 사회주의적 등정의 불가능성 : 강경애의 『인간문제』론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08
[만화] 증오, 혐오, 그리고 자멸의 소망에 대한 탐색 : 꼬마비 글, 재수 그림의 〈천적〉, 네이버
황해문화
2016 .03
‘주의자’와 우정(友情)의 향방 : 1920~30년대 한국 소설에 재현된 우정의 양상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04
나인호, 『증오하는 인간의 탄생–인종주의는 역사를 어떻게 해석했는가』 (역사비평사, 2019)
대구사학
2020 .01
박탈과 증오의 바람 - 이만희 감독의 <휴일>(1968)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2021 .08
국가폭력과 증오체제
한국언어문학
2019 .01
‘인간’은 언제나 온전하게 인간을 알아볼까? : ‘호모 사피엔스’가 ‘호모 오디엔스’를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증오하는 인간의 탄생 : 인종주의는 역사를 어떻게 해석했는가』나인호 / 역사비평사 / 2019
황해문화
2019 .09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장애, 인지적 공감과 감정 윤리 - 손원평, 『아몬드』(2017)
동방학지
2023 .06
1994년 르완다 제노사이드의 원인인 증오언어와 내러티브로 형성되는 치유언어의 대비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2 .12
혐오, 그 분석과 철학적 소고
철학탐구
2017 .05
현대사회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혐오 : ‘난민’이 문제가 되는 사회
탐라문화
2020 .01
인도 분단 소설에 나타난 비극의 양상 연구 - 쿠쉬완트 싱의 「파키스탄행 열차」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