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개관
Ⅱ. 입법논의에서 유의할 사항
Ⅲ. 추가적인 검토 과제
Ⅳ.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2002. 6. 11. 선고 2001다16722 판결
[1] 어느 사업장의 급여규정에서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임금을 정하고 있는 경우 어떤 급여가 거기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위 규정들의 객관적 해석에 의하여 가려지는 것이고, 그 해석에 있어서는 위 규정들에 근거한 당해 사업장의 지급관행 및 위 규정들의 개정 경위와 그 내용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살펴 그 뜻을 헤아려 보아야 한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28421 판결
[1] 소정 근로 또는 총근로의 대상(對償)으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으로서 그것이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되는 것이면 원칙적으로 모두 구 근로기준법(1997. 3. 13. 법률 제5309호로 제정되기 전의 것)상의 통상임금에 속하는 임금이라 할 것이나, 근로기준법의 입법 취지와 통상임금의 기능 및 필요성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임금이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5. 9. 9. 선고 2004다41217 판결
[1] 상여금이 계속적·정기적으로 지급되고 그 지급액이 확정되어 있다면 이는 근로의 대가로 지급되는 임금의 성질을 가지나 그 지급사유의 발생이 불확정이고 일시적으로 지급되는 것은 임금이라고 볼 수 없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12. 21. 선고 94다26721 전원합의체 판결
[1] 일반적으로 임금은 직접 근로자에게 전액을 지급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근로자에 대하여 가지는 채권으로서 근로자의 임금채권과 상계를 하지 못하는 것이 원칙이나, 계산의 착오 등으로 임금이 초과 지급되었을 때 그 행사의 시기가 초과 지급된 시기와 임금의 정산, 조정의 실질을 잃지 않을 만큼 합리적으로 밀접되어 있고 금액과 방법이 미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0. 5. 13. 선고 2008다6052 판결
[1] 감시·단속적 근로 등과 같이 근로시간의 산정이 어려운 경우가 아니라면 달리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시간에 관한 규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시간에 따른 임금지급의 원칙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근로시간 수에 상관없이 일정액을 법정수당으로 지급하는 내용의 포괄임금제 방식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0. 12. 7. 선고 90다카19647 판결
가. 사원과 노무원으로 이원화된 개정 퇴직금규정이 개정 전의 그것보다도 퇴직금 지급일수의 계산 및 퇴직금 산정 기초임금의 범위에 있어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경우에는 이에 관하여 종전 취업규칙의 적용을 받고 있던 근로자집단의 동의가 있어야 유효하다고 할 것인바, 노동조합원인 총근로자 중 85%가 넘는 수를 차지하는 노무원이 퇴직금개정안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89399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어떠한 임금이 통상임금에 속하는지 여부는 그 임금이 소정근로의 대가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것인지를 기준으로 객관적인 성질에 따라 판단하여야 하고, 임금의 명칭이나 지급주기의 장단 등 형식적 기준에 의해 정할 것이 아니다. 여기서 소정근로의 대가라 함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12. 18. 선고 2012다94643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가) 근로기준법이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해고예고수당, 연차휴가수당 등의 산정 기준 및 평균임금의 최저한으로 규정하고 있는 통상임금은 근로자가 소정근로시간에 통상적으로 제공하는 근로인 소정근로(도급근로자의 경우에는 총 근로)의 대가로 지급하기로 약정한 금품으로서 정기적·일률적·고정적으로 지급되는 임금을 말한다. 1개월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3. 29. 선고 2010다91046 판결
자세히 보기부산지방법원 2014. 8. 28. 선고 2014구합1582 판결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저임금 비교대상임금의 범위 조정
노동법학
2018 .06
임금의 개념으로서 근로 대가성 판단에 관한 소고
노동법포럼
2019 .11
임금 법제의 재견(再見)
노동법학
2024 .06
통상임금제의 근본문제와 최근 판결의 쟁점과 향후과제
법이론실무연구
2015 .04
최저임금제의 위헌성에 관한 연구 - 2017헌마1366 및 2018헌마1072(병합) 헌재 결정을 중심으로 -
노동법포럼
2020 .07
최저임금제도의 새로운 구상과 법적 과제
노동법포럼
2017 .11
Minimum Wage Effects on the Wage Distribution in South Korea
Korea and the World Economy
2021 .04
생활임금 조례의 주요 쟁점과 판례에 대한 검토
법학논고
2024 .07
복지포인트의 통상임금성 판단에 관한 소고(小考)
法學論文集
2017 .01
임금의 개념과 임금제도의 합리적 운영
노동법포럼
2023 .03
최저임금 영향 집단 노동 이행분석: 집단중심추세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2023 .09
최저임금의 적용 차등화 방안 연구
노동법학
2018 .06
최저임금의 사업체 내 임금압축 효과
노동경제논집
2016 .12
중국 최저임금제도의 주요내용과 문제
경희법학
2015 .01
최저임금법상 문제점과 해결방향
노동법논총
2017 .12
일본 최저임금제도의 동향과 과제 — 지역별·산업별 최저임금제도와 생활보호와의 관계 —
노동법논총
2019 .12
최저임금과 정기상여금 : 해석론을 중심으로
노동법학
2018 .03
최저임금 인상이 임금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의 분석
2018 .01
복지포인트의 임금성 및 통상임금성 인정 여부
사법
2020 .01
원 · 하청기업의 임금 격차 및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 공급측 요인과 수요측 요인의 종합적 접근 -
지역사회연구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