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언론 개념의 연혁과 이론적 논의
3. 언론 개념에 대한 법적 논의
4. 뉴미디어와 언론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헌법재판소 2001. 8. 30. 선고 2000헌가9 전원재판부
가.언론·출판의 자유의 보호대상이 되는 의사표현 또는 전파의 매개체는 어떠한 형태이건 가능하므로, 담화·연설·토론·연극·방송·음악·영화·가요 등과 문서·소설·시가·도화·사진·조각·서화 등 모든 형상의 의사표현 또는 의사전파의 매개체를 포함한다.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8. 7. 2. 선고 2007나60990 판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마47,252(병합) 전원재판부
이 사건 법령조항들이 표방하는 건전한 인터넷 문화의 조성 등 입법목적은, 인터넷 주소 등의 추적 및 확인, 당해 정보의 삭제·임시조치, 손해배상, 형사처벌 등 인터넷 이용자의 표현의 자유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약하지 않는 다른 수단에 의해서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음에도, 인터넷의 특성을 고려하지 아니한 채 본인확인제의 적용범위를 광범위하게 정하여 법집행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9. 4. 16. 선고 2008다53812 판결
[1] 인터넷 종합 정보제공 사업자가 보도매체가 작성·보관하는 기사에 대한 인터넷 이용자의 검색·접근에 관한 창구 역할을 넘어서서, 보도매체로부터 기사를 전송받아 자신의 자료저장 컴퓨터 설비에 보관하면서 스스로 그 기사 가운데 일부를 선별하여 자신이 직접 관리하는 뉴스 게시공간에 게재하였고 그 게재된 기사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내용을 담
자세히 보기서울고등법원 2008. 1. 16. 선고 2006나92006 판결
[1] 언론매체의 어떤 기사가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여 불법행위가 되는지의 여부는 일반 독자가 기사를 접하는 통상의 방법을 전제로 그 기사의 전체적인 취지와 관련하여 기사의 객관적 내용, 사용된 어휘의 통상적인 의미, 문구의 연결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기사가 독자에게 주는 전체적인 인상을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여기에 당해 기
자세히 보기서울중앙지방법원 2007. 5. 18. 선고 2005가합64571 판결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2006. 6. 29. 선고 2005헌마165,314,555,807,2006헌가3(병합) 전원재판부
가. 적법요건에 대한 판단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그래도 “이런” 언론은 있어야
관훈저널
2021 .12
언론을 담다 : 한 권으로 보는 한국 언론 60년
연구보고서
2020 .12
한국 언론, 얼마나 낡았나_가르치려 드는 언론 통하지 않는 시대
신문과방송
2020 .12
뉴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변화, 언론의 법적 개념도 바꿀까?
언론중재
2016 .03
언론법학자로서 백암(白巖) 김동철 교수의 생애와 사상
언론과법
2021 .12
페이스북은 언론인가 - 소셜미디어에 대한 독일 언론법 적용을 둘러싼 논의
언론중재
2017 .03
사람들은 어떤 미디어를 ‘언론매체’로 보는가
미디어이슈
2015 .11
언론학자가 본 언론 현장_뼈아픈 경험이 언론 제도와 문화를 바꿔야
신문과방송
2015 .05
[신뢰 못 받는 한국 언론] 언론감시와 미디어비평 무엇이 문제인가
관훈저널
2020 .09
무엇이 한국 언론 자유와 언론 신뢰에 대한 인식에 개입하나 : 능선 회귀(Ridge Regression)와 Lasso 통계학습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21 .06
모든 기업은 미디어 기업이다 : 브랜드 저널리즘이 강요하는 언론개혁의 전망
커뮤니케이션 이론
2019 .03
북한 미디어 환경과 언론의 기능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015 .05
사실과 의견 구분_‘사실’ 뒷받침 되지 않은 ‘과잉주장’…언론 신뢰 해친다
신문과방송
2018 .10
데이터화가 언론학 연구방법에 던지는 의미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1
한일관계에서 언론의 역할
관훈저널
2015 .06
스마트 미디어 시대 언론 지원정책
연구보고서
2015 .10
[주목할 만한 해외언론법제] 「유럽미디어자유법」의 이해와 함의: 초연결시대, 다시 언론의 독립성을 위하여
언론중재
2024 .06
‘탈언론’ 미디어의 등장과 그 양식, 그리고 공공성 : 알고리즘 미디어에 관한 비판적 소고
한국언론정보학보
2017 .12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특성과 전망 : 이명박·박근혜 정권시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2017 .02
언론 신뢰도의 개념적 고찰
언론과 사회
2022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