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놀이인가, 노동인가? - `행복한 일치`의 종언과 근대 예술의 운명
2. 예술인가, 사회인가? - 체르니셰프스키와 플레하노프의 미적 가치론
3. 프롤레타리아트인가, 아방가르드인가? - 예술 -노동과 주체의 문제
4. 가치 있는 삶인가, 상품화된 일상인가 ? - 예술 - 노동이 생산하는 것
5. 예술인간인가, 예술기계인가? - 근대 너머에서 삶을 생산하는 주체성
6. 결어 : 예술 -노동의 기계적 배치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예술노동 + 예술노동` 좌담] 예술노동과 예술행동을 둘러싼 사회적 의미와 흐름에 대하여 : 예술노동과 예술행동은 어떻게 마주할 것인가?
문화과학
2015 .12
예술노동의 권리와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한 예술행동
문화과학
2015 .12
기계의 예술, 인간의 예술
황해문화
2015 .09
일·놀이·노동과 인간
지식의 지평
2019 .05
예술은 없다
월간에세이
2019 .06
예술노동 뒤에 드리워진 검은 그림자
문화과학
2015 .12
노동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부서지는 것이다 : ‘노동 소멸’이라는 신화에 대한 반론
황해문화
2023 .06
문화적 실천으로서 ‘예술행동’의 궤적들
문화과학
2019 .11
노동의 개념도
황해문화
2021 .09
노동의 가치
월간에세이
2023 .11
엮어 읽기도 힘이 세다 : 노동 현장의 이야기《 땀 흘리는 소설 》(2019)을 통해 본 우리 시대 일과 노동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0 .03
한국 예술 외 1편
문학들
2022 .02
노동을 넘어 ‘좋은 삶’을 꿈꾸게 하라
타우마제인
2024 .01
예술이냐, 산업이냐
자음과모음
2020 .03
노동의 도구
문학들
2015 .11
예술-노동-물신주의
청색종이
2022 .03
있는 그대로의 청소년 노동을 말하다
창비어린이
2022 .03
청소년과 노동
창비어린이
2015 .06
참된 노동 개혁을 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물과사상
2015 .11
노동으로부터의 해방과 노동 내에서의 해방: 현대 기술이 가져온 기회 혹은 위기에 관한 성찰
인간·환경·미래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