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はじめ
Ⅱ. 身体語彙の慣用句的な特徴
Ⅲ. 調査背景と資料
Ⅳ. 「目」に関する韓日の対照
Ⅴ. むすび
參考文獻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顔」に関する身体語彙の韓日比較 : 現代小説を中心に
일본연구
2000 .02
身体語彙「腹 · 胸」に関する韓日慣用表現 : 日本現代所説を中心に
일본연구
1999 .02
「気」に関する慣用句の日韓対照研究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6 .04
日․韓両言語の慣用句に現れる感情表現 : 身体語彙を中心として
일본어학연구
2001 .09
身體慣用句의 考察
일어일문학
1998 .03
現代小說に現われた韓國の今Ⅴ
인문학논총
1999 .12
日韓両言語の「目/眼」に関する慣用表現について : 比較言語文化学の立場より
일본문화연구
2006 .10
기독교와 韓國의 現代小說
동서문화
1967 .07
관용구(慣用句)와 그 배후(背後) 민담(民譚)
국어국문학
1961 .10
「顔」に関する慣用句の多言語比較による意味記述 : 日本語と韓国語の対照を中心に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5 .09
한국(韓國) 현대소설(現代小說)의 사건(事件) 유형(類型) 연구(硏究) -6·25 이후(以後)를 중심(中心)으로-
국어국문학
1969 .12
[고찰과 연구] 관용구 《―게 하다》의 의미에 대하여
중국조선어문
2005 .03
現代小說의 不條理性
국어문학
1989 .01
중국어 구어 상용 관용표현의 분포 및 양상 연구
중국어교육과연구
2019 .12
한국(韓國) 현대소설(現代小說)에 나타난 표제(標題)의 특질(特質)
국어국문학
1970 .03
영어 관용구의 연구 : 주로 영역성서에 나타난 관용구를 중심으로
어학연구
1990 .03
우리 말 어음체계의 민족적 문화특성을 론함
중국조선어문
2017 .07
近代韓国語学習書に見られる服飾語彙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14 .09
중국 초등학교 『語文』 교과서 음절별 고빈도어휘 분석 및 교육적 활용 모색
중국어교육과연구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