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학교교육‘다양화’정책의 성격과 그 효과
김정원(한국교육개발원 부연구위원)
Ⅰ. 서론
Ⅱ. 학교교육다양화 정책의 두 측면
Ⅲ. 학교교육 ‘다양화’ 정책의 전개 과정
Ⅳ. 학교교육 ‘다양화’의 실제
Ⅴ. 논의와 결론
요 약
`다양화‘가 그 핵심인 5?31교육개혁 이후 학교교육정책에는 서로 다른 두 가지 관점이 포함되어 있다. 기존 질서 내의 자유 경쟁을 강조하는 신자유주의적 관점과 기존 질서의 해체에 따른 가치의 다원화를 강조하는 탈근대론적 관점이 그것이다. 이 두 관점은 이후 교육개혁정책에 항상 병존해 왔으나 학교교육 내용과 방법 관련 정책의 경우에 한정해서 본다면 개혁 초기에는 가치의 다원화에, 후기에는 표준화된 시험에 기초한 학력 경쟁이 보다 강조되는 쪽으로 그 방향이 전환되어 왔다.
초기 학교교육개혁에서 선두적 위치에 있던 학교들이나 교육과정 운영에서 자율권을 보장받고 있는 학교의 경우, 학교교육과 관련한 기존 질서, 즉 학교교육과정 운영체계나 교과 수업에서의 강조점 등이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양화’는 비 입시 관련 교과 수업과 교과 외 교육활동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영역에서 ‘자기주도성, 문제해결력’ 등이 키워지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영역의 교육활동은 ‘학력향상’과 별 관련이 없는 혹은 그것에 역행하는 것들로 이해되고 있다.
학교교육내용과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면 ‘학력’ 차원에서는 부각되지 않는 이들 학교 내에서의 비 입시 교과 수업과 교과 외 교육활동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경험의 특징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해 내고 그것이 갖는 의미를 가시화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다양화, 교육개혁, 신자유주의, 탈근대론, 학습경험의 다양화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반화의 성격과 교육적 의미
[KEDI] 한국교육
1980 .12
‘학교교육 위기’의 성격에 관한 일 고찰
[KEDI] 한국교육
2001 .12
열린교육이 만든 즐거운 학교
중등우리교육
1997 .12
'작은학교'가 살아야 교육도 산다
중등우리교육
1994 .06
작은학교'가 살아야 교육도 산다
초등우리교육
1994 .06
교육이론의 성격과 구조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
1999 .12
2010년 우리를 찾아올 교육정책들
초등우리교육
2010 .02
좋은 교육정책 만들기
교육비평
2006 .12
2010년 우리를 찾아올 교육정책들
중등우리교육
2010 .02
탈학교 사회의 교육
중등우리교육
1997 .08
탈학교 사회의 교육
초등우리교육
1997 .08
현란한 6차교육과정, 고달픈 학교
초등우리교육
1995 .12
현란한 6차교육과정, 고달픈 학교
중등우리교육
1995 .12
미래의 성격과 교육적 의미
[KEDI] 한국교육
1983 .12
효과적인 학교의 특성 및 학교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문제연구
1994 .12
"학교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다"-교육적 관점에서 중요한 작은 학교
중등우리교육
1995 .08
큰 학교와 작은 학교
초등우리교육
1999 .07
“좋은 학교야”
중등우리교육
2008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