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Ⅰ. 불교학 방법론의 문제 - 주석(註釋)/교학(敎學)적 독법과 철학적 독법
Ⅱ. 붓다의 연기법과 불교의 연기설들
Ⅲ. 연기해석학들의 초점이동
Ⅳ. 연기해석학 전통들의 과제 그리고 원효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부 학자들의 12연기설 해석에 대한 비판 - 무시간적 · 논리적 연기설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2025 .01
종교사회복지의 권력화에 대한 고찰
종교문화비평
2020 .01
전쟁에 대한 불교적 관점
불교학보
2017 .09
지론학파의 법계연기(法界緣起) -돈황출토 지론문헌 S.4303을 중심으로-
禪文化硏究
2021 .12
Grounded Identities: Saṅkhārā and Consciousness - Continuity in the Context of Rebirth Process
불교학보
2021 .03
창발과 연기
인문학연구
2019 .01
독일 불교학자들의 불교인식: 불교연구 초기단계 두 독일 문헌학자를 중심으로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7 .01
‘식(識)’을 바탕으로 한 불교심리학의 ‘의식(consciousness)’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24 .04
불교 존재론, 인식론, 진리론이 가지는 불교심리치료적 함의 - 연기, 세계, 인간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
2023 .05
[작품론] 가연성의 꽃, 그 연기적인 출렁임
시조시학
2015 .06
잠시, 연기를 연기하고
월간에세이
2019 .10
中國 僞疑經에 나타난 ⽼莊的 佛敎理解 考察 - 연기(緣起)적 관점에서 본 중국 찬술 불교경전의 특성 이해
한국불교학
2019 .01
법장 연기인문육의법의 화엄학적 해명
동아시아불교문화
2017 .01
기독교 관점에서 본 연기(緣起)의 의미와 가능성
불교학보
2023 .11
불교 효 윤리의 교육적 특성
효학연구
2017 .01
불교의 자연 인식 변천: 불교생태교육적 의미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21 .01
영상연기방법론에 대한 재인식 연구 - 메소드 연기를 중심으로 -
공연문화연구
2015 .02
유교적(儒敎的) 불교(佛敎)의 변형(變形)에 관한 고찰(考察) ―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의 효(孝) 사상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사연구
2021 .01
초기불교의 관점에서 본 퇴옹성철의 중도관
대각사상
2021 .12
불교상담의 우울치료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불교문예연구
2021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