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세 이야기
주목할 만한 논점
해원의 기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극은 어떻게 품고 살아가야 할까
창비어린이
2015 .06
플라스틱만 보면 떠오르는 ‘죽음’… 이 비극의 정체는
제3시대
2019 .05
순수의 비극
월간에세이
2020 .10
비극과 기억 사이
창비어린이
2015 .03
[시] 동시대와 비극
문학들
2020 .11
[소설 당선작] 삼중주
문학들
2018 .08
1923년 9월 1일, 비극을 기억하는 작가들
푸른사상
2023 .03
셸링의 예술철학에서 비극의 의미
대동철학
2015 .01
반비극과 부정비극으로서의 아서 밀러의 『부활 블루스』
코기토
2022 .06
이미지 시대의 앨리스를 위한 아동문학
창비어린이
2020 .09
해방 직후사의 빈틈을 채우다 - 정병준, 『1945년 해방 직후사: 현대 한국의 원형』, 돌베개, 2023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24 .08
“피네간의 앨리스” 혹은 “앨리스의 경야”: 루이스 캐롤을 통하여 읽는 『피네간의 경야』
제임스조이스 저널
2021 .01
비극의 날풍경, 그 색그늘
황해문화
2017 .06
[명화의 숲을 거닐다-2회] 아름답기에 더욱 비극적인 그녀들
월간에세이
2023 .06
3월 1일의 밤은 대한민국의 봄이었다 — 권보드래, 3월 1일의 밤: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돌베개, 2019) —
개념과 소통
2019 .01
‘장자못 이야기’의 욕망
비교문학
2022 .10
풍자비극으로 본 『아테네의 타이먼』
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
2023 .04
3‧1 운동의 낯선 얼굴들 – 권보드래, 『3월 1일의 밤-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돌베개, 2019) –
어문론총
2020 .01
최혜영, 『그리스 비극 깊이 읽기』 (푸른역사, 2018)
서양사론
2018 .12
라이너 슈어만과 궁극의 현상학 : 비극적 진리와 정치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7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