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시아에서 시작된 한류가 비아시아권으로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류가 인기를 얻고 있는 인기요인이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그동안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류 연구를 아시아를 포함해 유럽과 미주 수용자를 대상으로 한류의 인기요인을 실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상호 비교·분석했다. 더불어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한류 콘텐츠를 제작하고 유통하는데 있어 이들 인기요인이 참고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 한류의 인기요인 콘텐츠 자체가 전달하는 재미와 감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 흥미성’, K-Pop 가수들이나 드라마, 영화에 등장하는 배우들의 외모에 대한 매력도로 구성된 ‘인적 매력성’, 영화나 드라마의 탄탄한 스토리 전개나 촬영기술, 한류스타들의 연기력과K-Pop 가수들의 가창력 등을 포함한 ‘콘텐츠 전문성’ 등 크게 3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한류 인기요인과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의 관계에서 지역별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 정도에 차이는 존재했지만, 조사 지역 모두 ‘콘텐츠 흥미성’, ‘인적 매력성’, ‘콘텐츠 전문성’이한류 콘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conducted comparison and analysis for the real evaluation of Korean wave`s popularity factors in accordance with the recipients in Europe, America as well as Asia.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good feeling for Korean contents is investigated which is expected to suggest reference materials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contents. As a result, the popularity factors of Korean wave`s contents are largely divided into 3 categories; fun and moved contents itself “contents interest”, fascination of Pop singers, actors and actresses who appear in TV, drama, and movies “humane attractiveness”, and drama and movies` structured scenarios, shooting techniques, Korean stars` acting abilities, and K-pop singers` singing abilities “professional contents”. A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popularity factors and feelings for Korean contents, it revealed tha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influences in each region, which impacts on the fee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