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나는 인간인가? 나는 살아도 좋은가?
2. 내 몸이 물질이라면 물질은 무엇인가?
3. 나에게 인간의 자격을 부여하는 틀은 어떠한 것인가?
4. 여성이 허구라면 여성주의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유물론(들)과 페미니즘, 그리고 버틀러 비판
여/성이론
2022 .12
삶의 가능성을 열기 위하여 : 주디스 버틀러, 『젠더 허물기』, 조현준 옮김(문학과 지성사, 2015)
여/성이론
2016 .05
십대, 페미니즘을 통해 일상을 다시 보다
여/성이론
2018 .06
내가 여성이 아니라면, 내가 대체 뭔데? :『왓 이즈 섹스?』
여/성이론
2021 .12
페미니즘 생산론: 페미니즘 ‘재생산론’에 대한 비판적 제안
여/성이론
2023 .06
`불편한` 페미니즘, `나쁜` 페미니즘, 그리고 우리 안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 대중서 읽기
페미니즘 연구
2016 .10
자유의 정치적 실천으로서 페미니즘
젠더와 문화
2016 .12
페미니즘 대중화 시대에 페미니즘 고전 읽기 : 김진희, 『페미니즘의 방아쇠를 당기다』, 푸른역사, 2018.
한국여성학
2018 .12
에코페미니즘
여/성이론
2020 .12
페미니즘 시선에서 바라본 평화
여성과 평화
2020 .09
행동하는 보통 남자들과 함께하는 페미니즘
여/성이론
2022 .08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 불연속적인 시대와 공간을 ‘잇는’ 페미니즘 대중서
페미니즘 연구
2018 .10
융합시대의 대학생 성문화 연구(사랑의 유형이 대학생의 캐주얼 섹스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6 .01
누가 페미니즘을 모함했나? - 백래시에서 시장 페미니즘까지 : 수전 팔루디(2017), 『백래시: 누가 페미니즘을 두려워하는가?』, 황성원 역, 아르테, 앤디 자이슬러(2018), 『페니미즘을 팝니다: 우리가 페미니즘이라고 믿었던 것들의 배신』, 안진이 역, 세종서적
한국여성학
2018 .06
여성 범주를 통해 트랜스 페미니즘을 다시 사유하기
여/성이론
2020 .08
사이버 페미니즘(다나 헤러웨이)과 에코 페미니즘(김선희)의 비교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8 .09
가시성의 경제와 몸 이미지: BL은 어떻게 페미니즘의 ‘문제’가 되었는가
여/성이론
2021 .08
셀러브리티 페미니즘 확산 요인 연구
문화와융합
2020 .03
기후위기 시대의 페미니즘과 신유물론
여/성이론
2022 .12
급진 페미니즘(Radical Feminism)
여/성이론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