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며
2. 중국어학의 연구분야
3. 중국어학 관련 소논문 연구현황
4. 한중 중국어학 관련 연구동향 실태 분석 대조
5. 나가며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의 중국어학 연구자 통계 및 연구경향 분석 —《中國文學》을 중심으로
중국문학
2019 .01
韩国汉语语法發展史考察
중국어문학논집
2022 .08
인문언어학의 연구사적 검토와 비판적 전망
언어사실과 관점
2015 .01
중국어 인지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논문정보 DB 키워드 빈도 분석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4 .11
Generative Linguistics and Corpus Linguistics: Two Paradigms of Language Study and Their Applications to AI
언어과학
2022 .11
현대중국어학 및 중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2013년~2017년 ≪中國語文論叢≫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8 .01
광복 70년, 국어학 외연의 확대와 발전
한국언어문학
2015 .01
語言學視角下中文菜名與漢語教學研究綜述
건지인문학
2024 .02
Corpus linguistics research trends from 1997 to 2016: A co-citation analysis
언어연구
2017 .01
한국어 음운 연구의 경향과 전망 - 국어학과 언어학 분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언어학
2022 .04
중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중국어교육학회 ≪중국어교육과 연구≫를 중심으로
중국어교육과연구
2021 .11
중국의 언어학적 번역 연구 동향 고찰
통번역교육연구
2020 .01
중국언어학 교육을 위한 전자교재에 대한 구상 시론
중국문화연구
2017 .08
鲁迅的遗言和Chinese Characteristics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1
한국 대학생의 중국어 불안 양상 연구
중국어문학논집
2020 .08
구문문법을 활용한 중국어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에 대한 소고
중국어교육과연구
2020 .06
조선어학연구회 기관지 『정음』(1934-1941)을 통해 본 조선어 연구의 지형
민족문화연구
2023 .05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개념과 유형
국어국문학
2015 .03
총체적 개념의 중국학을 위한 언어학의 역할과 대상에 관한 시론
중국학
2019 .01
合作听写活动对汉语学习者的汉语能力及学习态度的效果影响研究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18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