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들어가며
한 · 중 · 일 문화장관회의의 중요성
그 동안의 한 · 중 · 일 문화장관회의
제6회 한 · 중 · 일 문화장관회의 성과
앞으로의 한 · 중 · 일 문화장관회의
참고 : 2015 동아시아 문화도시 청주 행사계획(안)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9 제9회 한·중·일 관광장관회의
한국관광정책
2019 .10
제8회 한중일 관광장관회의
한국관광정책
2018 .12
제1회 OECD 소비자 장관회의 주요 의제 및 시사점
소비자정책동향
2025 .02
우리 공동의 미래에의 기여 (Contribute to Our Common Future) : 제20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청년포럼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8 .12
자연과 연결하기(Building Connections with Nature) : TEMM 2015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청년회의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07
자연으로부터의 혜택(Nature"s benefits to people) : 제18차 한 · 중 · 일 환경장관회의 청년포럼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6 .06
2021 G7 외교·개발장관회의와 포스트-코로나 국제개발협력 어젠다
IFANS FOCUS
2021 .06
[이영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고난을 겪어본 장관만이 할 수 있는 일
포브스 코리아
2023 .01
생물문화다양성과 청년 참여 : 제19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청년포럼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11
[해외 사례 ➌ : OECD 환경장관회의] 플라스틱 오염, 탄소중립 국제사회 연대 강화
지방정부
2022 .05
회의와 공공성에 대한 고찰
월간 공공성
2023 .12
교육부장관 리더십 탐색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8 .05
한국 교육부장관의 리더십 특성과 요건 고찰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8 .05
국내기업의 회의만족과 회의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학연구
2020 .08
스마트워크 시대 직장인들의 회의에 대한 탐색적 연구: 회의유형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대면·비대면 회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22 .08
교육감에 대한 장관 감독권의 한·일 간 비교
[KEDI] 한국교육
2015 .04
유권자들은 장관 경력을 선호하는가?: 장관 겸직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020 .01
기후정의(Climate Justice) 맥락에서의 청년참여 : 제22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청년포럼의 준비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1 .12
어느 조직이나 하는 회의, 회의 셀프진단 체크리스트
지방정부
2021 .07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구축 현황 및 과제 -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를 중심으로 -
한국거버넌스학회보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