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남북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3. 통일 이후의 고전문학 교육과정 개발의 두 방향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한의 2013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
국어교육연구
2016 .10
고전소설교육 패러다임의 점검과 전망
국어교육연구
2017 .02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문학교육학
2019 .01
콘텐츠의 시대, 고전문학의 대응과 과제
한국언어문학
2024 .03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견 -국가 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검토를 겸하여-
漢文敎育論集
2019 .01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문학 교과서의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문학교육학
2020 .01
당위와 이상과 현실의 접점에서 -지방대학에서 고전문학 가르치기
韓國古典硏究
2023 .05
문학미디어와 고전문학 연구-영원한 현재로서의 고전문학과 그 연구이론으로서-
반교어문연구
2017 .01
중국 고등학교 개정 『사상정치』 교육과정 연구
재외한인연구
2021 .06
북한이탈청소년 대안학교의 교과과정에 관한 비교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9 .12
‘한문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한문 산문 교육의 의식과 지향
漢字漢文敎育
2019 .01
국가 수준 한국어 교육과정의 체제 연구
이중언어학
2020 .01
고전소설콘텐츠 담론 검토와 그 비판적 계승에 관한 시론
민족문화연구
2024 .05
역량기반 고전문학교육의 방법과 과제
어문론총
2019 .01
터키 국립 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수업 사례를 통한고전문학 교육 방안 연구
韓國古典硏究
2020 .01
中・高等學校 漢文 敎科書의 傳統的 價値觀 具現과 그 特性
漢字漢文敎育
2018 .01
젠더적 시각에 의한 한문학의 재구성 논의에 대한 관견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한문과 ‘교사주도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과 방향 연구
漢字漢文敎育
2018 .01
국어교육의 북한어 이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국어교육연구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