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빠른 기술 진보와 글로벌 경쟁의 심화에 따라, 중소기업들도 이러한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된 경쟁 환경 하에서 중소기업의 경쟁 위협을 최소화하고 시장 기회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선도적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효율적인 기업운영 및 연구개발을 위해 기술개발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며, 있는 자료조차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중소기업들이 진입할 수 있는 제품 및 핵심기술 등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중소기업 실태 분석을 통한 미래예측 등을 통해 수립되는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중소기업 기술경쟁력과 성장기반을 확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입 촉진과 균형적 동반성장을 이끌 수 있는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Small and medium enterprises(SMEs) have faced market environment changes significantly caused by the fast growth of technology as well as the intensified global market competition. Such environmental changes negatively influence survivability of the SMEs since their R&D capacity is not relatively strong enough as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Accordingly, this situation increasingly requires government-level R&D incentive policy to secure their competitiveness from potential risk factors and even increase market opportunity for them. Currently,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available literatures and materials which are practically applicable for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and strengthening R&D capacity for the SM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MEs strengthen R&D capacity and technology innovation, using SME technology roadmap concept. Furthermore, the study attempted to construct R&D incentive system which encourage global market penetration and improve cooperative growth through securing SMEs"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growth found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