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인찬 (숙명여자대학교)
저널정보
새한영어영문학회 새한영어영문학 새한영어영문학 제57권 제1호
발행연도
2015.2
수록면
1 - 23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roblematics of a search for authentic masculinity in J. D. Salinger’s widely-read The Catcher in the Rye. It is well known that Salinger’s masterpiece acidly protests against the corrosive materialism of modern America from the perspective of a young protagonist Holden Caulfield, who struggles with growing up into adulthood. Holden envisions himself as a catcher, one who saves innocence from being corrupted into what he calls the ‘phony’ world without. For Holden, the catcher reflects a dream of his own authentic masculinity that he wishes to realize against the standardized masculinities of the conformist society. Then, as this paper argues, Holden’s vision is highly complicated. While it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social changes of the mid-20th century America that David Riesman mapped out, it seems the vision itself cannot be constructed without Holden’s self-sublimating obsession with innocence. Holden risks such process to deny growing up, but the failure of growth he chooses may be a meaningful resistance to conformist society and an effort to leave room for self-reflection.

목차

1. 컬트가 된 미국소설
2. 순응이라는 이름의 성장
3. 홀든의 이중성을 통한 규범적 남성성 비판
4. ‘가짜’ 혐오자의 진정한 남성성 찾기
5. 순수의 끝, 호밀밭의 파수꾼 되기
6. 실패한 성장이 남기는 것
인용문헌

참고문헌 (16)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