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 목차]
[쟁점과 대안]
[Ⅰ. 도시의 흥망성쇠? 도시혁신이 관건]
도시 불사(不死) 시대 종말, 새로운 해법이 필요
인구고령화 진행되고 조세부담력 떨어져 지속가능 위험 지자체 등장
[Ⅱ. 우리나라 및 경기도 도시의 쇠퇴 실태와 요인]
도시 쇠퇴현상은 지방과 수도권 막론하고 모두 발생
도시 성쇠(成衰) 요인은 산업구조와 인구구조 영향이 가장 중요
도시 쇠퇴와 성장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위기의식이 문제 해결의 출발
[Ⅲ. 국내·외 도시혁신 사례와 교훈]
사람과 기업, 돈이 떠나 파산한 도시 : 미국 디트로이트 시
주력인 조선산업 붕괴 이후 환경도시로 부활 : 스웨덴 말뫼 시
도심에 사람을 끌어들이는 정책과 도시 디자인 : 호주 애들레이드 시
미활용 토지의 ‘문화 오아시스’로 도심에 활력 :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
낡은 고층빌딩을 부숴 슬럼가를 살고 싶은 마을로 : 영국 캐슬 베일 지구
도시정책에 인문학을 도입 : 경기도 수원시
지방으로 권한 이양과 중국자본 유치로 지속 성장 : 제주 특별자치도
[Ⅳ. 정책적 시사점]
도시 쇠퇴 4대 요인:고령인구, 주력산업 붕괴, 인프라 노후, 부동산 하락
도시 마다 (가칭)‘도시혁신센터’ 설치 운영
한국판 ‘도시권연합 특약 (City Deal)’제도를 경기도에 우선 적용
[경기도 시·군의 지속가능성 관련 통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