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용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병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전익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윤종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민자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정승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성진근 (한국농업경영포럼) 김완배 (한국농업경제학회) 김종호 (수출입은행) 이동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저널정보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기본연구보고-R646] 식량안보체계 구축을 위한 해외농업 개발과 자원 확보 방안(3/3차연도)
발행연도
2011.11
수록면
1 - 382 (38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fter the global food crisis in 2007 and 2008, world grain prices have rapidly soared. This brought about significant influences on global economy causing the ‘agflation’ phenomenon which describes inflation led by rises in agricultural commodity prices. The world grain market is also unstabilized by uncertain changes in weather and productions. Since Korea is one of the huge food import countries, food security has become one of serious challenges to Korea.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s emerging as one of promising policy options to stably secure foods.
This is the third and final report which is a third year report of the three-year research. This study has tried to seek an alternative model and policy to establish an effective operating system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rojects given that Korea"s entry into this field is relatively new and competition ove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s getting intense around the world. Additionally, the study suggested a model and strategies fo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bout several issues as follows:
In the first year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future direction and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agricultural development by grasping the historical progress and constructing a reasonable definition of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the oversea agricultural development in Russia, Brazil, Myanmar, and Cambodia. Especially, the conceptual scope of oversea agricultural development includes physical and economic access to safe, sufficient, and nutritious food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a food security system.
In the second year research, the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implementation of a 10-year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plan. In addition, the second year study provided necessary complementary measures and developed a new food security index to consider some elements influencing the world food supply & demand and the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final year research, the study provided action plans for promoting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by regions, commodities, and types by reviewing successful private companies" strategies and evaluating their business models and analyzed the economic feasibility studies by analyzing financial statements and business performances. Finally, Based on the various results, the study drew up various desirable business models for successful overseas agricultural development.

목차

[표지]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요약]
[ABSTRACT]
[제1장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선행연구 검토
4. 연구 내용
5. 연구 범위
6. 연구 방법
[제2장 식량안보와 해외농업개발의 의의]
1. 글로벌 식량위기의 가능성
2. 최근 국제곡물가격의 동향
3. 향후 국제곡물가격 전망
4. 식량안보대책과 해외농업개발
[제3장 해외농업개발의 실태와 과제]
1. 해외농업개발의 특징과 실태
2. 우리나라 해외농업개발의 실태
3. 우리나라의 농식품산업 해외투자 동향
4. 세계 농림어업 해외직접투자 동향
5. 농림어업 해외직접투자의 요인 및 투자 목적
6. 외국의 해외농업개발 동향
7. 해외농업개발의 국제규범 제정
[제4장 해외농업개발의 전략 수립]
1. 해외농업개발 전략 수립의 단계
2. 해외농업개발 진출 지역 결정
3. 지역별 해외농업개발 목표 물량
4. 해외농업개발 전략 수립
[제5장 해외농업개발사업의 타당성 분석]
1. 해외농업개발 사업타당성 분석 개요
2. 해외농업개발의 사업타당성 실증분석
[제6장 해외농업개발사업의 경영 성과 분석]
1. 농식품산업 해외직접투자의 경영성과 분석
2. 외국 기업의 농식품 분야 해외직접투자의 경영성과 분석
3. 해외농업개발의 성공모델 개발
[제7장 결론 및 정책 시사]
1. 요약 및 결론
2. 정책 시사
[부록]
[참고 문헌]
[머리말]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20-002803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