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고자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5∼44세 사이 406명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 예비문항을 실시하였다. 총 91문항 중에 내용분석과 문항분석을 통해 5문항을 제거하였고, communality가 .30 이하인 16개의 문항을 삭제하였다. 요인추출은 최대우도법으로 요인회전은 direct oblim 방법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으며, factor loading이 .30이하이고 두 개 이상의 요인에 double loading된 17개의 문항을 제거하였다. 3개의 하위요인은 총 변량의 41.82%를 설명하였으며 1요인은 신체화, 2요인은 분노, 3요인은 부정적 정서로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247명을 대상으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에 대한 모델의 전반적인 부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된 회귀계수가 .50 이하이고 다중상관계수가 .20 이하에 해당하는 2개의 문항을 제외한 총 40문항을 최종문항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스트레스를 준거변인으로 설정하고 스트레스 반응과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나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scale for middle-aged woman. We surveyed 91 preliminary items for 406 middle-aged woman, from 35 to 44 ag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We excluded 5 of 91 items through content and item analysis and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liminated 16 items which were under communality value .30. Next to, we removed 15 items which were under factor loading .30 and double loading with two or more factors and final inventory were composed to 40 items. internal reliability of total items was good as .941 and 3 sub-factors explained 42.82 percents of a total variance of inventory. Each factors were named as follows. First factor is a somatization, second factor is a anger, third factor is a negative emo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response and perceived stress and this result imply that criteria validity of daily stress response inventory was guarant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