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金載名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학회 사학연구 사학연구 제99호
발행연도
2010.9
수록면
71 - 110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武人政變으로 명종이 즉위하면서 내시 구성에도 큰 변화가 생겼다. 어느 때보다도 새로운 인물이 대거 내시로 등용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왕과 교분이 두터운 側近 출신은 많지 않았으며, 무반으로 내시가 된 예도 거의 없었다. 대신 親武臣的인 성향의 文臣이 다수 내시로 선임되었다.
이런 가운데 명종 3년 일부 문반 출신의 내시가 反武臣亂인 金甫當의 亂에 가담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집권 무신은 이들을 대신해 문반 관직을 겸임한 무신을 내시로 등용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하였다. 李義方의 아우인 李隣이 그 시초였다. 그러는 한편 학문이 뛰어난 문신의 등용도 계속하였다. 직무수행의 효율성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었다. 그 결과 내시의 수는 한때 정원을 초과할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그리고 이 무렵 왕은 통치력을 거의 상실했다. 兵權은 물론 人事權과 刑罰權도 제대로 행사하지 못했다. 심지어 왕을 近侍하는 내시의 임면조차 집권 무신의 뜻에 따라 행해지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에 따라 왕보다 權臣에게 충성하는 내시가 훨씬 많아졌다. 이런 현상은 慶大升執權期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다 명종 14년 李義旼의 집권을 계기로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財政權과 人事權을 중심으로 왕의 통치력이 상당 수준 회복된 것이다.내시를 비롯한 측근과 宗親?小君, 그리고 일부 朝官의 지지와 도움이 컸다. 이에 따라 내시의 구성과 성격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親王的 內侍의 수가 크게 늘어났고, 내시 구성도 그간의 親武臣 위주의 틀에서 벗어나 양자가 균형을 이루었다.
명종 말에 崔忠獻이 무더기로 내시를 축출하고 국왕마저 폐위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다. 내시를 비롯한 측근세력의 도움으로 명종의 통치력이 상당히 회복되었던 만큼 권력기반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이의민뿐 아니라 이들 모두를 제거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런 면에서 최충헌의 집권은 단순한 무인집정자의 교체가 아니라 복고되어 가던 왕정체제를 재차 붕괴시킨 또 하나의 武人政變이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머리말
Ⅰ. 전반기의 內侍 構成과 政治的 性格
Ⅱ. 후반기의 內侍 構成과 性格의 變化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1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