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Korean Environmental Policies
Ⅲ. Environmne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Ⅳ. The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DPRK
Ⅴ.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핵 이후 북한과 중국간의 경제협력 전망
경기논단
2006 .12
Is the DPRK Economy Changing?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3 .01
6자회담의 진로와 향후 과제
한반도선진화재단 기타 단행본
2012 .03
What Determines the DPRK’s Anthracite Exports to China?: Implications for the DPRK’s Economy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2015 .05
DPRK POLICY TOWARD SOUTH KOREA AND THE PROSPECTS FOR RECONCIL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996 .01
Prospects for the U.S.-DPRK Normalization and Economic Transition Eff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08 .01
After Breaking the Deadlock: Extending Cooperation with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rough Natural Disaster Management
국제관계연구
2019 .06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the DPRK Statistics: Case of Grain Statistics in 1946. 2000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06 .01
조선의 내부식민지화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민주법학
2018 .01
Being Better at Doing Good: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International Management Practices in the DPR (Nor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15 .01
Prospects for U.S.-DPRK Engagement
국제관계연구
2002 .10
ROK Policy on North Korea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rospects and Analyse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2012 .01
김정은 시대 환경관련 활동과 협력 방안: 습지 생물다양성 보전 대내외 활동변화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2019 .01
EU의 대북정책 특징과 한반도 균형자로서의 역할 가능성 연구
유럽연구
2008 .12
대북 포용정책과 강경정책의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1, 2차 핵위기를 사례로
통일정책연구
2007 .01
북한·인도·파키스탄의 핵무장 정책 동인을 통해 본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 가능성
Journal of North Korea Studies
2018 .01
PRC-DPRK RELATIONS AND THE NUCLEAR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s
1994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