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여상임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국어국문학회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 제165호
발행연도
2013.12
수록면
425 - 451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 on and Poetic and Emotional Sympathy. Untill now, When we see the emotional sympathy, We have emphsized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We have considered these factors as decisive something in Poetic and Emotional Sympathy.
but, Many poetries which are unrelated with this a poet,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can create too Emotional Sympathy.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e included in this kinds.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aroused Emotional Sympathy although don"t have poet"s internalization, poet"s subjectivity, poetic language, rhythm ic beauty in language. This is possible when we see the poet in view of an ‘arrangement".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were enjoyed not reading poetry but reciting poetry. When we see the Narrative-Poetry of The Period of Emancipation, we need to see these poetries in oral communication context. When we see these poetries like this, we can see the poetic and emotional symphathy.

목차

1. 서술시 혹은 시에서의 서술 문제
2. 해방기 서술시의 직접성과 산만함
3. 서술시의 구술적인 유통환경과 ‘직접성의 미학’
4. 서술시의 ‘낭독조의 시적화자’와 구술성의 미학
5. 맺음말 - 해방기 서술시와 미적 정치성
참고문헌

참고문헌 (3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800-00102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