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진 (국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語文學 第122輯
발행연도
2013.12
수록면
527 - 552 (2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t concentrates on storytelling as a strategy to the perspective which regards storytelling as a subordinate realm of cultural contents. But storytelling is a broad notion extending from marketing to education and cure etc. This writing is object to examine the sociocultural meaning and possibility of cultural-political practice in storytelling. For that, we will look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erm of storytelling first. In this process, we will focus on the influence of post-modern small narratives that resist dominant discourse and the grand narrative besides the effect of digital media.
Then we will look around trends of the research on cultural contents and digital storytelling with reflection to the limits. After that, we will examine movements of the research on storytelling beyond the limits and the ideology of culture industry, especially in the fields of space and education. In this way, we will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storytelling passing over the realm of technology or strategy. This work would be also a demand that the research on storytelling to move on to the sociocultural practice.

목차

1. 광의의 스토리텔링이 지닌 전략 이상의 함의
2.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3. 문화콘텐츠와 디지털 스토리텔링의 연구 동향과 그 관점
4. 산업적 관점을 넘어서는 스토리텔링 연구의 방향
5. 사회문화적 실천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8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800-001068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