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백종현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철학사상 철학사상 제50권
발행연도
2013.11
수록면
3 - 33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고는 ‘유가(儒家)’라고 통칭되는 고대 중국의 일군의 사상가들과 ‘스토아(Stoa)학파’로 일컬어지는 고대 그리스-로마의 일단의 사상가들이 서술한 세계와 인간을 개관하면서, 그들의 사상의 공통 지반을 이루고 있는 천(天)·도(道)·리(理)의 개념과 이성(λ?γο?/ratio)·자연본성(φ?σι?/natura)의 개념을 부각시켜 비교함으로써, 서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비슷한 시기에
아무런 상호 영향 없이도 비슷한 세계관을 가졌음을 보이고, 이들의 ‘이성’ 개념이 오늘날 한국인들의 ‘이성’ 개념의 주요 내포이기도 하다는 점을 적시하고자 한다. 이것은 동서고전 사상을 추적하여 현대 한국사회 사조의 근본과 의의를 밝히는 작업이다.
주지하듯이 한국어 낱말 ‘이성’은 중국 유송(劉宋)의 범엽(范曄)이 『논어』의한 구절, “성은 서로 비슷하나, 익힘에서 서로 멀어진다(性相近也 習相遠也).”를 풀이하면서, 익힘의 중점이 ‘理性’ 곧 ‘성정을 다스림’ 내지는 ‘정념의 통제’에 있음을 강조하는 데서 그 연원을 갖는다.
그러니까 원초적으로 ‘이성’이 의미하는 바는 방탕한 성정을 절제하고 함께 함에서 근신함이며, 이미 그러한 경지에 이른 이, 곧 ‘성인’이 뭇 사람을 훈도하는 이치이다. 그러나 오늘날 한국어 ‘이성’이 서양사상의 만남에서 번역어로서 탄생했고, 그 말의 본딧말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어 낱말 ‘로고스’(λ?γο?)나 라틴어 낱말 ‘라티오’(ratio)의 원뜻을 상기하면, ‘이성’은 인간의 ‘말하기’와 ‘셈하기’의 능력, ‘사고능력’ 또는 ‘법칙수립 능력’을 그 기본적 의미로 갖는다 하겠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전통을 이어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파악한 키케로가 이성이 여타의 동물들과 구별되는 인간의 특성임을 거듭 말했을때, 이 같은 ‘이성’ 개념의 거의 전모가 드러났다.
‘이성을 가진 자’의 ‘이성에 따른’ 영혼의 활동이란 한편으로는 “이성을 가지고 사고함”을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성에 복종함”을 의미한다. 이로써 이성적인 사람은 ‘자제력 있는 사람’을 뜻함과 함께 그는 사람으로서의 중요한 미덕을 갖춘 자로 칭송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로써 ‘이성’은 사고능력이라는 뜻과 함께 정념의 통제능력, 더 나아가 실천적 의지의 법칙 수립능력이라는 뜻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로서의 ‘이성’이 인간의 본질로 규정되면서, 오히려 인간의 ‘본질’에 대한 쟁론과 함께 ‘이성’의 의미와 원천에 대한 논쟁이 일었으니, 종전의 견해들을 대별해보면 세 가닥이다.
이제 ‘이성’의 본디 뜻을 말하기(道: λ?γο?)라 한다면, 누가 또는 무엇이 말하는가에 따라 이성 개념이 갈릴 것인즉, 우선 셋으로 추려볼 수 있으니, 첫째는, 사물(res)이, 존재자(ens)가, 자연(natura) 자신이 시원(arche)로서, 원리(principum)로서 말한다는 자연주의, 둘째는 자연 너머의 어떤 것, 가령 신(deus)이 주재자로서 말한다는 초자연주의, 셋째는 다름 아닌 인간 자신이 주체로서 말한다는 인간(중심)주의가 그것들이다.
유가와 스토아학파, 이 두 사상은 대체로 자연주의로 함께 묶을 수 있거니와, 이들은 공통으로 ‘이성’ 개념을 매개로 해서 도덕적 행위의 시발점을 정념의 통제에 두며, 이론이성보다 실천이성을 강조하고, 법도 정치를 표방한다.

목차

【요약문】
머리말
Ⅰ. 유가의 천(天)·도(道)·리(理)
Ⅱ. 스토아학파의 이성(λ?γο?/ratio)·자연본성(φ?σι?/natura)
Ⅲ.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