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Ⅰ. 환경복지 패러다임의 필요성]
환경은 보편적 복지의 필수적인 요소
환경피해, 환경서비스 혜택이 사회ㆍ경제적 능력에 따라 불평등하게 분포
환경복지란 모든 사람이 깨끗한 환경을 누리면서 삶의 질을 높이는 것
[Ⅱ. 환경복지 불평등의 현주소]
환경질과 환경서비스의 지역간 격차
저소득층, 어린이ㆍ노인 등 환경약자가 환경오염 피해에 더 취약
환경서비스 비용 부담자와 수혜자의 불일치
[Ⅲ. 환경복지 정책 방향]
모든 정책수립 과정에서 환경약자를 고려해야
지역간, 계층간 환경서비스 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개발과 투자 확대
환경복지 사업을 통한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Ⅳ. 경기도에의 시사점]
경기 북부-남부, 도시-농촌 환경서비스 격차 해소
취약계층 건강 보호 및 맞춤형 환경서비스 제공
[환경복지 관련 주요 지표]
[쟁점과 대안]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