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준 (영남대학교)
저널정보
한국비교공법학회 공법학연구 공법학연구 제14권 제1호
발행연도
2013.2
수록면
569 - 598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12. 8. 23. 헌법재판소가 토양환경보전법의 오염원인자 규정 등에 대하여 내린 2개의 결정은 토양정화책임의 소급효, 신뢰보호, 오염토양의 소유자ㆍ점유자ㆍ운영자의 상태책임의 근거와 한계에 관한 쟁점들을 검토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있다.
먼저, 오염토양의 양수인의 책임에 관한 규정인 구 토양환경보전법 제10조의3 제2항 제3호 전단의 규정은 이른바 부진정소급효에 관한 것이어서 헌법 제13조2항의 소급입법금지에는 위배되진 않는다고 보면서, 신뢰보호원칙에는 반하는 위헌성이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소급효와 신뢰보호의 문제는 별도로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또한, 대상판례(Ⅰ)은 폐기물에 대한 공법적 규제가 시작된 1970년대 이후에는 토양오염에 대해서 공법상의 책임을 부담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고 보는데, 그렇다면 1970년대 이후 2002. 1. 1. 동 규정이 신설되기까지의 양수인의 신뢰는 보호할 만한 것인지에 대하여 애매한 판단을 했다는 지적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양수인의 신뢰보호가 문제된 만큼 공법상 책임의 승계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했는데, 대상판례에서는 이러한 점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다.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즉 이 사안에서는 오염토양의 소유자ㆍ점유자ㆍ운영자의 책임은 상태책임으로서의 성질을 가진다. 이러한 상태책임의 근거와 한계는 본 문제의 핵심쟁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판례(Ⅱ)가 이러한 상태책임규정과 양수인의 승계책임을 본질적으로 같은 것으로 보고, 상태책임규정의 경우 선의ㆍ무과실의 면책조항이 없음을 들어 비례원칙, 특히 최소침해성원칙에 반한다고 본 것은 타당하지 않다. 양자는 귀책근거가 다르므로 “본질적으로 같은 것은 같게, 본질적으로 다른 것은 다르게”라는 상대적 평등원칙에 충실한 것으로 위헌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침해성원칙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 중’에서 기본권을 최소로 침해하는 작용을 선택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수단이라는 점에 대한 검토 없이, 단지 최소침해수단에만 주안점을 둔 대상판례(Ⅱ)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무제한의 부담 가능성이 비례원칙, 특히 법익균형성의 원칙에 반할 우려가 있다는 대상판례(Ⅱ)의 지적은 원칙적으로 타당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합헌적 법률해석의 여지는 있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은 있으며, 헌법불합치결정이 내려진 상황에서는 비례성을 갖춘 내용으로 보완할 수도 있었다고 생각된다.

목차

Ⅰ. 문제의 제기
Ⅱ. 대상판례
Ⅲ. 제3호의 오염원인자규정과 소급금지ㆍ신뢰보호원칙 : 대상판 례(Ⅰ)관련
Ⅳ. 제2호의 오염원인자규정의 평등권침해 여부 : 대상판례(Ⅱ) 관련
Ⅴ. 제2호의 오염원인자규정과 비례원칙 : 대상판례(Ⅱ) 관련
참고문헌
〈국문요약〉
〈Zusammenfassung〉

참고문헌 (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1)

  • 대법원 2009. 12. 24. 선고 2009두12778 판결

    [1] 토양환경보전법 제2조 제3호에 규정된 토양오염관리대상시설 중 `장소’에는 토양오염물질을 생산·운반·저장·취급·가공 또는 처리함으로써 토양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 시설·장치·건물·구축물이 설치되어 있는 `부지’도 포함되므로, 위와 같은 부지를 양수한 자는 같은 법 제10조의3 제3항 제3호의 규정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1. 4. 1. 선고 89헌마160 全員裁判部

    가. 민법(民法) 제764조가 사죄광고(謝罪廣告)를 포함하는 취지라면 그에 의한 기본권제한(基本權制限)에 있어서 그 선택(選擇)된 수단(手段)이 목적(目的)에 적합(適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정도(程度) 또한 과잉(過剩)하여 비례(比例)의 원칙(原則)이 정한 한계(限界)를 벗어난 것으로 헌법(憲法) 제37조 제2항에 의하여 정당화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9. 7. 22. 선고 97헌바76,98헌바50·51·52·54·55(병합) 전원재판부

    가. 헌법재판소법 제68조 제2항에 의한 헌법소원은 법률의 위헌여부심판의 제청신청을 하여 그 신청이 기각된 때에만 청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청구인 홍성민 등은 …… 구 공유수면매립법 제6조 제2호에 대하여는 위헌여부심판의 제청신청을 한 바 없고, 이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하여는 법원의 위헌제청신청기각결정도 없었다. 따라서 위 법률조항에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1. 10. 12. 선고 2001두274 판결

    [1] 의료법 제8조 제1항은 의료인이 될 수 없는 결격사유를 규정하면서 그 제4호로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를 들고 있는바, 파산선고를 받은 파산자는 파산법 제137조의 거주지 제한 이외에는 파산법 자체에 의한 신분상 제약은 없으나, 파산법 이외의 사법상 또는 공법상 여러 가지 자격이나 권리의 제약사유가 규정되고 있는 경우가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0. 5. 27. 선고 2007헌바53 전원재판부

    폐기물의 발생을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적정하게 처리하여 환경보전과 국민생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려는 이 사건 법률조항들의 입법목적은 정당하고, 직접적인 오염원인자 이외에 폐기물이 방치된 토지의 소유자에게도 폐기물 처리책임을 확장하여 인정하는 것은 위와 같은 입법 목적을 달성하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 나아가 이 사건 법률조항들로 인한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바28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정의조항은 `토양오염물질을 생산·운반·저장·취급·가공 또는 처리함으로써 토양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이라는 문구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고 있고, 이는 토양오염을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한다는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지의 소유자·점유자·운영자, 양수자, 인수자에게도 토양오염에 대한 책임을 부담시킬 필요가 있기 때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3. 4. 26. 선고 81누423 판결

    가. 새로운 납세의무나 종전보다 가중된 납세의무를 규정하는 세법조항의 소급적용은 과세요건을 실현하는 행위 당시의 납세의무자의 신뢰가 합리적 근거를 결여하여 이를 보호할 가치가 없는 경우, 그보다 중한 조세공평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절실한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그 예외를 설정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2. 8. 23. 선고 2010헌바167 전원재판부

    가. 이 사건 정의조항은 `토양오염물질을 생산·운반·저장·취급·가공 또는 처리함으로써 토양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는’이라는 문구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고 있고, 이는 토양오염을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한다는 토양환경보전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부지의 소유자·점유자·운영자, 양수자, 인수자에게도 토양오염에 대한 책임을 부담시킬 필요가 있기 때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2. 1. 26. 선고 2009다76546 판결

    [1] 甲이 토지소유자 乙에게서 토지를 임차한 후 주유소 영업을 위하여 지하에 유류저장조를 설치한 사안에서, 유류저장조의 매설 위치와 물리적 구조, 용도 등을 감안할 때 이를 토지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과다한 비용을 요하거나 분리하게 되면 경제적 가치가 현저히 감소되므로 토지에 부합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사실상 분리복구가 불가능하여 거래상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1990. 9. 3. 선고 89헌가95 全員裁判部

    국세기본법(國稅基本法) 제35조 제1항 제3호 중(中) “으로부터 1년(年)"이라는 부분(部分)은 헌법(憲法) 제23조 제1항이 보장(保障)하고 있는 재산권(財産權)의 본질적(本質的)인 내용(內容)을 침해(侵害)하는 것으로서 헌법(憲法) 전문(前文), 제1조, 제10조, 제11조 제1항, 제23조 제1항, 제37조 제2항 단서(但書),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7. 5. 31. 선고 2006헌바49 전원재판부

    가. 증여로 인해 취득하는 재산에는 통상적으로 부동산이나 유가증권이 많고 이러한 재산은 그 처분에 상당한 기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은바, 납세의무자가 위 부동산이나 유가증권 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현금, 예금 그 밖에 환가가 용이한 재산을 처분하거나 담보부나 신용으로 융자를 받거나 금원을 차용하는 방법 등을 통하여 조세를 납부할 자금을 마련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60-00353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