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김태경 (경기개발연구원) 권대한 (경기개발연구원) 최준영 (경기개발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기본연구 2012-01
발행연도
2012.6
수록면
1 - 159 (15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reasons of jeonse stock shortage exploring determinants of the housing sale price to jeonse price rations in housing sub-marke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o this, the factors affecting rental contract types a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relationships among housing sale price, jeonse price, and monthly rental price, the spatial structures of housing sub-markets, and a survey questionnaire,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housing sale price to jeonse price ratios are analyzed.
This research could be differentiated to the existing studies in terms tha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ore fractionized housing sub-markets, and the individualities and their thinking about housing policy of people living in them, are synthetically analyzed using a more structural approach. Inclusion of market demand changes in this research is also could be regarded as a uniqueness.
It is found that spatial dependency to the regional job market of housing sub-markets is very serious, so it must be reconsidered. The cities having dependency to the adjacent regional job market must survive independently bringing up their unique strengths and their own cultural features. It is also found that the exiting features of rental housing market cannot be fit for the current varying demands, so the types of rental housing policy must be reestablished considering the changing demands of the housing markets.

목차

[표지]
[머리말]
[연구요약]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주요 내용 및 방법론
[제2장 선행연구 검토 및 수도권 주택시장 현황분석]
제1절 선행연구 검토
제2절 수도권 주택시장 동향
제3절 수도권 지역특성 현황
[제3장 설문조사 분석]
제1절 설문조사 개요
제2절 설문조사 결과분석
제3절 시사점 종합
[제4장 전세가격 모형분석]
제1절 기초통계
제2절 모형분석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