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Fang Xiaotian (Peking University)
저널정보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1
발행연도
2013.2
수록면
19 - 37 (1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전원후방형금속대구(前?后方型金屬帶?)는 한(漢)과 위진(魏晉)왕조에서 만들어 쓰던 일종의 허리띠 부속물이다. 이들 유물들은 그 형태가 모두 동일하지는 않지만 몇몇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즉, 유형적 공통점을 들 수 있는데, 앞이 둥글고 뒤가 네모난 모양을 하고 있다는 점, 둥근 앞면의 한쪽 끝에 활모양으로 잔구멍들을 뚫어 장식하고 그 뒤에 움직이는 걸쇠를 매단 점, 양 무늬로 장식한 한 점만을 제외하면 띠고리 전체가 대개 용과 호랑이 무늬로 장식된 점, 테두리는 대개 꼰무늬나 세모무늬로 장식한 점, 눈 부분의 무늬와 테두리의 세모무늬에 보석들을 박아 넣은 점을 들 수 있다. 이런 종류의 유물은 주로 중국과 북한 지방에서 출토되었는데, 동아시아의 고대 문화 전파 및 교류와 관련된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전원후방형금속대구의 기원과 발전 과정에 주목하고, 이들이 한에서 당(唐) 왕조에 이르는 기간 동안 복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목차

Introducti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Belt Buckles with a Round Front and Square Rear
The Influence of Belt Buckles with a Round Front and Ssquare Rear to Han and Tang costume
Abstract
국문초록

참고문헌 (3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10-003157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