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수택 (경상대학교)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13년 봄 호(통권 102호)
발행연도
2013.2
수록면
10 - 39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article introduces complex and multi-dimensional concepts of ‘solidarity’ and elucidates the histories of the idea of ‘solidarity’ in Western and Korean society. The modern idea of solidarity which succeeded the idea of fraternity, was developed by socialists and sociologists in the 19th century.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Catholic church also paid special attention to the idea of solidarity and developed its religious and ethical tradition. In Korea, the spirit of solidarity was formed during modernization, but was suppress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Korean authoritarian regimes. In this turbulent period of Korea’s history, ideas of solidarity were introduced, spread, and developed through social science, social movements, and religion.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연대의 개념
3. 서구 연대사상의 세 전통
4. 한국의 연대정신과 관념
5.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26)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00-002376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