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가계, 생애 및 관직 활동
3. 학문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비판적 태도
4.『동국지리지』의 내용과 저술 동기
4. 나머지 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韓百謙의 『東國地理誌』 成立背景
역사와실학
1999 .01
유학의 이상 실현을 위한 조선 주자학자들의 田制論 고찰 - 久庵 韓百謙의 「기전유제설」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9 .11
장서각 소장 유서류의 개관과 특성
장서각
2016 .04
韓百謙의 「東國地理誌」
역사학보
1982 .03
淸末民初 朱子學의 展開 : 王先謙을 中心으로
역사와 담론
2007 .09
최영경의 伸寃에 대한 考察 : 顧養謙의 일본 책봉 奏請 요구와 관련하여
한일관계사연구
2016 .12
『백제(百齊)』와 『맥(貊)-』의 상관성
인문과학연구
2000 .02
多義語の百科事典的意味記述 : 「割る」を事例に
한국일본어학회 학술발표회
2009 .03
『百科全書』에 나타난 社會思想
역사학보
1972 .06
『茶道敎論百首詠』에 나타난 다도정신 연구
일본문화학보
2010 .05
「百聯抄解」(東京大學本)의 釋에 대하여
한국학논집
1973 .03
신라 진성왕대 효종랑과 화랑도
사학연구
2018 .12
[原文] 廿四史的百衲本、点校本、今注本及其影响
민족문화
2017 .12
春川 소재 壯節公 申崇謙遺蹟地의 조성 경위와 특징
인문과학연구
201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