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영자 (가톨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현상과인식 현상과인식 통권 118호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87 - 116 (3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xt of the growth of the cultural capitalism and its working process as well as its mechanisms. The cultural capitalism works in the context where labor culture, consumer culture, and popular culture are produced on the basis of productionism, consumerism, and populism ; it drives a strategy to expand the ideological/cultural power of the capital for the hegemony of the capitalism. In the neoliberal era the cultural capitalism operates through the Corporate Culture Project, the consumerist cultural politics, and the cultural populism combined with the market populism, in which its mechanisms such as individualization, self-subjectification, and empowerment work with great intensity. The strategy of exclusion and polarization of the neoliberalism engages with the subsumption strategy of the cultural capitalism. The cultural capitalism grows and shows its great power in a paradox that it brings about the crisis of the culture and of the politics in the name of the ‘culture era’.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화자본주의의 작동 방식 및 기제
3. 노동의 ‘문화화’ : 배제와 포섭의 이중전략
4. 소비주의적 문화정치 : 경제와 문화의 결합과 위기
5. 문화적 포퓰리즘과 시장 포퓰리즘 : 권능과 저항의 코드
6. 맺음말
도움 받은 글

참고문헌 (4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30-000581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