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글
Ⅱ. 기념물로 재현된 한국 전쟁: 도상과 우상
Ⅲ. 용산 전쟁기념관: 군인들만의 전쟁
Ⅳ. 제주4·3평화기념관: 불완전한 대안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50ㆍ60년대 한국전쟁 기념물 : 전쟁의 기억과 戰後 한국국가체제 이념의 형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2 .12
워싱턴 DC 내셔널 몰의 한국전 참전용사기념물과 전쟁의 기억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02 .12
Remembering Vietnam Veterans in Postwar South Korean Society: Heungsoon Im’s Exhibition, Homecoming Box(2008)
현대미술사연구
2020 .06
전쟁의 기억 : 보디츠코의 (반)기념비 프로젝트
현대미술사연구
2016 .06
침묵의 기념물: 〈유럽 전몰 유대인을 위한 기념물〉
미술사학
2010 .08
재한유엔(UN)기념공원 기념물의 디자인 특성에 나타난 상징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1 .09
1950ㆍ60년대 한국전쟁 기념물 : 전쟁의 기억과 戰後 한국국가체제 이념의 형성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02 .12
시각 문화로서의 한국 전쟁 사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0 .12
기억의 전쟁
한국독립영화협회 기타간행물
2020 .01
한국 전쟁 기 북한을 방문한 중국화가들
미술사학
2015 .08
The Use of Multimedia to Express the Implications of War on Identity
한국디자인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2006 .10
한국전쟁 60주년, 전쟁을 기억하는 연극들
공연과이론
2010 .09
한국전쟁과 서구미술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2000 .12
한국전쟁과 영화, 기억의 정치학 : <그 섬에 가고 싶다>와 <할매꽃>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2013 .12
중일전쟁 시기 일본과 조선에서의 영화정책 및 영화계의 대응 양상 비교연구 (1937~1940) - 영화와 국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
현대영화연구
2009 .01
한국 전쟁기념박물관 휴게공간의 감성 디자인 적용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11
관람자 체험을 고려한 메모리얼의 공간 표현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2 .10
기념관, 역사, 미학 그리고 학습 - 미국과 독일의 사례연구 -
조형교육
2008 .01
전쟁기념(박물)관의 새로운 전시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