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재윤 (공주대학교)
저널정보
고구려발해학회 고구려발해연구 高句麗渤海硏究 第44輯
발행연도
2012.11
수록면
59 - 89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4~5세기 백제와 고구려의 전쟁과 전개 양상, 그리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나라는 영역 확대에 따른 충돌에서 비롯되어 중국 군현이 가진 물적·인적 자원의 확보와 교역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한반도의 대표성을 갖는 문제와도 직결되며, 전쟁이 점차 국제적인 양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백제와 고구려는 중국 군현이 축출되자 이곳으로 진출하면서 한반도의 자웅을 겨루었다. 처음의 충돌은 백제의 승리로 귀결되었다. 이는 백제가 대비를 철저히 한 반면 고구려는 前燕과의 항쟁에서 국가체제를 정비할 수 있는 여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백제는 고구려와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점차 북상을 하면서 帶方의 물적·인적 자원을 흡수하고, 중국 군현을 대신하여 교역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백제 근초고왕은 東晋으로부터 ‘領樂浪太守’라는 작을 받았다. 이는 백제가 이 무렵 국제사회에서 한반도를 대표하는 세력으로 인식되었을 만큼 성장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고구려 광개토왕은 즉위하자마자 백제의 關彌城과 石峴城을 빼앗는 등 帶方界로 통하는 요로를 장악하였다. 대외관계에서도 신라를 끌어 들여 백제를 압박하였다. 아신왕은 광개토왕에게 굴복하였지만 왜를 끌어들여 이를 타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백제와 왜는 연합하여 대방계를 공격하여 빼앗긴 교역로를 재건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두 나라는 50여 년 동안 소강상태가 유지되었다. 이는 백제의 정권 교체와 고구려의 평양 천도라는 내부적인 요인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백제 개로왕이 즉위하자 상황은 변화되었다. 이제까지 유화정책을 펼쳤던 해씨 세력이 실각하고, 친정체제를 강화하였던 것이다. 개로왕은 신라와 가야, 왜뿐만 아니라 북위에 고구려 정벌을 요청함으로써 대고구려 포위 전략을 주도하였다. 이에 자극받은 고구려는 한성을 공격하여 개로왕 정권을 와해시킴으로써 두 나라의 기나긴 충돌은 일단락되었다.
한성 전투는 백제와 고구려의 대결이 국제전으로 확대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는 두 나라가 필요에 의해 주변국을 끌어들인 결과이다. 또한 고구려는 중국 군현 지역에 대한 지배를 공고히 하면서 이제 그 세력 범위를 한강 유역에까지 뻗치고자 하였다. 한강 유역이 삼국 간 주요 전쟁터로 부상한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중국 군현을 둘러싼 백제와 고구려의 격돌
Ⅲ. 고구려 광개토왕의 남하와 백제의 대응
Ⅳ. 대고구려 강경 정권의 등장과 한성 전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911-000823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