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머리말
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적 방법론
Ⅱ. 최고의 목적인 인간적 善 : 행복(eudaimonia)
Ⅲ. 善이란 範疇(categoria)의 일종
Ⅳ. 善은 덕행이다 : 正行(ortho-praxis)
맺는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John Calvin의 聖經(無誤)觀을 基盤한 Karl Barth의 啓示觀 批判
신학지남
2004 .03
치매인식개선에 관한 연구 -치매용어를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20 .04
書評 : 韓國 服飾硏究, 石宙善著
한국민속학
1973 .10
버나드 로너간의 認識理論과 칸트의 認識論에 대한 批判
신학전망
1998 .09
아리스토텔레스의 正義에 관한 小考
서양고전학연구
1989 .12
플라톤의 이데아論 分析 : 이데아의 槪念을 中心으로
정신개벽
1992 .06
뽈 리꾀르의 批判的 解釋學
신학정론
1987 .05
論“五四”期魯迅的批判精神
중국학논총
1999 .01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론
철학과 현실
1990 .09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 이론과 실천
철학연구
1990 .07
程ㆍ朱의 老子理解 批判高 : 『老子』 36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
1994 .05
플라톤의 『파르메니데스』편의 ‘제 3인간 논변’ : 인간적 사유의 한계에 대하여
코기토
2020 .02
個人主義的 社會觀의 根本前提에 대한 批判 : Marx의 批判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1988 .11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술 이론”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2010 .05
眞 · 善 · 美 : 美의 신학을 향하여
복음과 실천
1992 .09
아리스토텔레스와 인간적인 삶
인물과사상
2014 .02
1931/32년 강의에 나타난 하이데거의 이데아 해석
철학
2020 .08
半島的 性格論 批判
한국사 시민강좌
198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