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개요
Ⅰ. 머리말
Ⅱ. 徐敬德
Ⅲ. 成運
Ⅳ. 趙昱
Ⅴ. 李之?
Ⅵ.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사상사의 빈 공간 채우기, 신병주 저, 《남명학파와 화담학파 연구》(일지사, 2000)
역사학보
2001 .03
발해사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을까? - 김종복, 『발해정치외교사』(일지사, 2009)
역사와현실
2011 .03
의궤로 보는 조선시대의 기록문화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일지사, 2005.7)
역사학보
2005 .12
설화와 역사, 한국 대왕신앙의 새로운 현장적 해석 : 신종원, 2008《한국 대왕신앙의 역사와 현장》(일지사)
한국사연구
2008 .09
박용운, 수정ㆍ증보판 『고려시대사』(일지사, 2008)
역사학보
2008 .06
简论徐敬德的认识论
동서사상
2007 .08
花潭 徐敬德의 學問
철학논총
1985 .10
朝鮮前期
역사학보
1973 .12
朝鮮前期
역사학보
1976 .12
朝鮮前期
역사학보
2003 .09
朝鮮 前期
역사학보
1979 .12
朝鮮前期 察訪
사학연구
1989 .06
朝鮮前期
역사학보
1998 .09
朝鮮前期
역사학보
1971 .03
Ⅴ. 朝鮮 前期
역사학보
1968 .10
홍준표 지사에게 권합니다
인물과사상
2015 .05
발해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향해 : 김종복의『발해정치외교사』(일지사, 2009)
고구려발해연구
2011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