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부의 출산장려정책들이 기혼여성의 둘째 아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2010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서울시에 거주하면서 6세 미만의 한 자녀를 둔 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비모수 분석 방법인 x<SUP>2</SUP> 분석과 Mann-whitney’s U 검정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취업여성의 둘째 아 출산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과 주당 근로일수 그리고 출산지원정책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취업 여성의 경우 연령과 출산장려정책의 유의한 영향에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고려해 볼 때, 출산장려정책은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특성에 따른 차별화된 정책이 개발되어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policy on secondary childbirth encouragement of married women. The design for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22 women who have one child younger than 6 years old.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as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about policy on childbirth encouragement.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test, Mann-whitney"s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17.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ployed women"s intention of having a second child was affected by the age, working day per week, and policy on childbirth. But, in case of unemployed women, both of demographic and policy variabl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t policy on support of birth, work-family life balance, and various tax benefits be develop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employed women and the unemploy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