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주영 (국회입법조사처) 정성훈 (아주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주거환경학회 주거환경 住居環境 통권 제6권 제2호 (통권 제10호)
발행연도
2008.12
수록면
15 - 23 (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fter the development of first period new town, there has been a numerous researches handling housing-job location problem and spatial organization of newly developed new towns. However, compared with macro studies concerning new towns, micro studies like household behavior for residential preference are few, so this study focus on understanding household preference structure and residential movement who lives in new town.
This study have two objectives. The first is to find out household preference for new town resident and the second is to find out residential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new town resident. Most of household experienced upward change of residential quality due to migration toward new town. Cluster analysis shows that new town resident can b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is housing-oriented and the second is service-oriented and the third is invest-oriented groups. Among the three gropus, housing-oriented group shows the lowest residential satisfaction of new town. Survey results suggest that future new town development need to change demand-oriented development process.

목차

Abstract
Ⅰ. 연구의 목적
Ⅱ. 가구의 주거선호와 주거이동 관련 연구
Ⅲ. 자료와 분석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595-001394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