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근대기(1919~1940)의 한국연극
Ⅱ. 한국 근대극 운동의 특징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토론: “근대기의 한국연극과 한국 근대극 운동의 특징”에 대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60년대 ‘연극 대중화’ 운동과 ‘대중’ 담론
인문언어
2009 .01
Korean Theater, Past and Present
Korea Journal
1980 .03
현대 연극에 나타난 언어의 위기 및 그 한계
인문언어
2006 .01
Reorientation of the English Translation of Korean Theater
번역학연구
2006 .03
연극과 정치 : 탈(脫)정치시대의 연극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01 .02
한국어 연극 은유
담화와인지
2007 .08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어문학
2012 .06
근대극의 정립기 -극예술연구회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991 .12
흑인 연극 운동과 미국의 1960년대
인문과학연구
1999 .01
한국 근대 아동극 장르의 용어와 개념 고찰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09 .12
중국 근대연극의 시간과 공간 - 근대극 초기의 진화단과 춘류극장을 중심으로
중어중문학
2005 .06
포스트드라마 연극의 미학적 기초 : 니체와 아르토
외국문학연구
2011 .02
한국근대극의 기점문제
국어국문학
1990 .05
일제 강점기 항구의 상인 계층과 극장 건립의 관계 연구 : 해항도시 함흥의 사례를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04
연극사서술의 의의와 몇 가지 문제,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서강인문논총
1997 .12
과정연극 Process Theatre의 텍스트 연구
외국문학연구
2020 .11
카자흐스탄 국립 고려극장의 존재의미와 가치
한국문학과 예술
200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