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한ㆍ중 아동문학계의 교류를 반기며
아동문학 장르 용어, 어서 빨리 합의되길
10년 전과 지금, 그리고 10년 후의 한국 아동문학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아동문학은 문학인가?
창비어린이
2003 .06
한·불 아동문학 비교연구
비평문학
1993 .09
아동문학의 열린 논의를 위하여
창비어린이
2003 .12
한·중 문학교류의 현황과 전망
비평문학
2001 .07
문학교류의 공간적 사유
비평문학
1999 .07
우리 아동문학의 ‘세계-문학’ 상상력
창비어린이
2013 .06
일본 아동문학의 확장
창비어린이
2012 .03
러시아 아동문학 변천사 소고
동화와 번역
2011 .01
아동문학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창비어린이
2004 .03
중국 조선족 아동문학 체계론
한국아동문학연구
2008 .05
[주제 발표] 우리 아동문학은 과거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 : 아동문학의 현대성과 과거 문제
창비어린이
2005 .06
아동문학의 르네상스를 돌아본다 : 새천년 10년간의 한국 아동문학
창비어린이
2010 .03
일본 전쟁아동문학에 없는 것
창비어린이
2005 .03
[문학] 문학은 지치지 않는다
창비어린이
2014 .12
문학의 일, 문학은 일
자음과모음
2020 .03
문학은 무엇이었나?
자음과모음
2011 .11
[문학] 문학이 해야 할 일
창비어린이
2015 .06
다시, 문학지
자음과모음
2019 .03
밤, 항구 그리고 울음 - 박현덕, 『밤 군산항』(문학들, 2020)
시조시학
2020 .06
말과 문학
한글
193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