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정식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중원언어학회 언어학 연구 언어학연구 제20호
발행연도
2011.8
수록면
219 - 236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the incompleteness effects found in Korean by claiming that the incompleteness effects can be removed in terms of tense anchoring achieved by the addition of typical tense-aspectual morphemes/lexemes or various other morphosyntactic means. Based on Huang(2005) and Tsai(2008), I analyze tense-anchoring as a process making an event argument visible in syntax and licensed. This process mainly involves event quantification, event coordination, event subordination, event modification, as well as typical tense-aspectual morphemes/lexemes. Syntactic tense is then linked to semantic tense through this process, and the event variable spelled-out thereof is further subject to tense operator binding. Therefore, complementing incomplete clauses by means of tense anchoring leads to the eradication of the incompleteness effects.

목차

1. 머리말: 시상소 보충 미완성 극복
2. 형태-통사적 미완성 극복 현상
3. 사건논항 인허: 시제 및 다른 요소
4. 시제 정착
5. 맺는말
참고문헌

참고문헌 (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705-000319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