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분석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earning English through reading aloud using The Mentalist: A case study of four Korean university students
영상영어교육(STEM Journal)
2012 .01
Exploring Effective Translation Activities at College Level with Reference to Reading Aloud: A Case Study
통번역교육연구
2019 .01
Think-Aloud as an Instructional Tool for Developing Second Language Reading
응용언어학
2002 .12
Is Reading Aloud Beneficial for Korean College-level English Learners?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Effects of Think-aloud with Feedback on College EFL Reading Comprehension
영어교과교육
2019 .01
정규 영어읽기 수업에서 단락 단위별 소리 내어 읽기의 활용
언어학 연구
2012 .04
어린이를 위한 낭독공연의 유형 연구
공연문화연구
2018 .01
`문학작품 읽어주기`를 통한 문학교육의 새로운 방향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06
Re-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y Use and L2 Reading Performance
응용언어학
2013 .03
Students reading aloud and reading silently for group work : Questions, concerns, and clarifications
미래영어영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 .12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on Speaking and Writing of Adult EFL Learners
영어영문학연구
2017 .01
낭독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언어과학
2007 .01
TIME지를 활용한 중학생의 영어읽기능력 향상 방안
신영어영문학
2008 .08
자율독을 위한 초등 영어 읽기 교육 프로그램
언어과학
2007 .01
Teaching Reading in Primary English Education: A Research Review and Critical Considerations
영어영문학연구
2013 .01
교양 영어 읽기 수업의 소집단 활동이 영어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영어교과교육
2017 .01
Discussion of Intrapsychological Speech in L2 Reading
영어영문학21
2018 .01
예비 영어교사를 위한 영어다독 체험수업 인식연구
영어교과교육
2019 .01
Extensive Reading Assessments in Reading Classes in General English Programs at University Levels
응용언어학
200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