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1950년대 시론에서 ‘현대시‘와 ‘서정‘의 문제
2. ‘서정‘과 ‘주지‘의 대립의 본질적 측면: 음률에 대한 이미지의 강조
3. 서정시의 리듬- 소리의 청각적인 음악성
4. 문자의 반복을 통한 의미론적 음악성의 창출
5. 시인의 존재론, 부정의식으로서의 현대적 서정의 탄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50년대 시론에서 ‘서정’ 개념의 논의와 ‘새로운 서정’의 가능성」에 대한 토론문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2009 .06
봄의 서정(외1수)
중국조선어문
1989 .03
〈1950년대 모더니즘시의 서정과 반서정〉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1950년대 모더니즘 시의 서정과 반서정」에 대한 토론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서정=시’의 논리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김춘수의 시론과 현대적 서정시학의 형성
한국현대문학연구
1993 .02
[작품론] 정갈한 정통 서정시학
시조시학
2017 .09
서정의 회복, 죽음과 재생의 시학
시조시학
2015 .03
조지훈 서정시학 연구
어문학
1998 .01
1950년대 모더니즘시의 서정과 반서정 : 김수영ㆍ박인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시조시학상 심사기] 현실과 서정의 조화
시조시학
2006 .08
[회원 학위 논문 소개①] 1930년대 서정적 단편소설 연구
한국현대문학연구
1995 .02
신 서정시조의 모색
비평문학
1995 .09
1980년대 민중시의 서정 전개 양상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1950년대 시론에서 ‘서정’ 개념의 논의와 ‘새로운 서정’의 가능성 : 고석규의 부정성의 시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09 .08
사랑의 언어와 서정의 깊이
시조시학
2009 .09
[심사평] 서정을 바탕으로 한 튼실한 골격
시조시학
2007 .07
깊은 서정을 담고 있는 풍경화들
시조시학
2009 .09
서정 논의의 동향과 쟁점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10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정’의 본질과 의미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6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