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태호 (원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기업법학회 기업법연구 企業法硏究 第25卷 第1號
발행연도
2011.3
수록면
453 - 483 (3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Patent Court judged that a patent right has not been effective on the other worked invention by accepting defense of invalidation of patent based on a Absence of Nonobviousness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Patent Court Decision No.2008Heo3889; February 18. 2009). And this determination was also based on an abuse of patent right. In case Patent right has been granted against a requirement for patent, nonobviousness, this right must be only nullified by a trial to invalidate a patent. And Supreme Court has judged on whether a patent didn't have novelty but has not judged on whether a patent didn't have nonobviousness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But in the above Patent Court's decision, it was determined that a patent didn't have nonobviousness and further exercising the patent right fell in an abuse of patent right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gainst the above Patent Law's principle and the former Supreme Court decision. I think that the determination of Patent Court like this is unreasonable.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determination of invalidation of patent and an abuse of patent right based on an Absence of Nonobviousness shall not be accepted in accordance with Patent Law's principle in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and for the significance of the existence of a trial to invalidate a patent. In conclusion,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definite guidelines on concrete determinations about a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in Patent Law and trial systems of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목차

Ⅰ. 서론
Ⅱ. 특허법원 2009.2.18.선고 2008허3889판결의 요지
Ⅲ. 대상 판결에서 설시된 논리 검토
Ⅳ. 대상판결에서 나타난 주요 논리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Ⅴ. 결론
參考文獻
〈Abstract〉

참고문헌 (3)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5)

  • 대법원 2004. 10. 28. 선고 2000다69194 판결

    [1] 특허권침해소송의 상고심 계속중에 당해 특허발명의 명세서에 대한 정정심결이 확정되어 원심판결에는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 제8호에 정한 재심사유가 있으므로, 원심판결은 판결에 영향을 미친 법령위반의 위법을 이유로 파기되어야 한다고 한 사례.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9. 3. 28. 선고 85후109 판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기재나 고안의 상세한 설명 기타 도면의 설명에 의하더라도 등록출원당시 고안의 구성요건의 일부가 추상적이나 불분명하여 그 고안자체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는 때에는 실용신안권자는 그 등록고안의 권리범위를 주장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8. 10. 27. 선고 97후2095 판결

    실용신안법은 실용신안등록이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별도로 마련한 실용신안등록의 무효심판절차를 거쳐 무효로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등록실용신안은 일단 등록이 된 이상 이와 같은 심판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을 무효로 한다는 심결이 확정되지 않는 한 유효하며, 위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을 무효로 할 수 있는 사유가 있더라도 다른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3. 11. 28. 선고 2003다30265 판결

    [1]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714조 제2항에서 규정하는 임시의 지위를 정하기 위한 가처분은 다툼 있는 권리관계에 관하여 그것이 본안소송에 의하여 확정되기까지의 사이에 가처분권리자가 현재의 현저한 손해를 피하거나 급박한 강포를 방지하기 위하여, 또는 기타의 이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7. 6. 4.자 2006마907 결정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3. 7. 26. 선고 81후56 전원합의체 판결

    가. 등록된 특허의 일부에 그 발명의 기술적 효과발생에 유기적으로 결합된 것이 아닌 공지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그 공지부분에까지 권리범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닌 이상 그 등록된 특허발명의 전부가 출원 당시 공지공용의 것인 경우에도 특허무효의 심결의 유무에 관계없이 그 권리범위를 인정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1. 10. 30. 선고 99후710 판결

    [1] 어느 발명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서 특허발명과 대비되는 발명이 공지의 기술만으로 이루어지거나 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가 공지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특허발명과 대비할 필요 없이 특허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게 된다.

    자세히 보기
  • 특허법원 2009. 2. 18. 선고 2008허3889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3. 1. 18. 선고 82후36 판결

    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더라도 출원당시 발명구성요건의 일부가 추상적이거나 불분명하여 그 발명자체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는 때에는 특허권자는 그 특허발명의 권리범위를 주장할 수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1. 12. 27. 선고 99후1973 판결

    [1] 실시가 불가능한 등록고안은 구 실용신안법(1998. 9. 23. 법률 제557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3항에 위반하여 등록된 것으로서 그 권리범위를 인정할 수 없으므로, (가)호 고안은 등록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할 여지가 없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6. 2.자 91마540 결정

    가. 특허법은 특허가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별도로 마련한 특허의 무효심판절차를 거쳐 무효로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특허는 일단 등록이 된 이상 이와 같은 심판에 의하여 특허를 무효로 한다는 심결이 확정되지 않는 한 유효한 것이며, 법원은 위와 같은 특허를 무효로 할 수 있는 사유가 있더라도 다른 소송절차에서 그 전제로서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2. 6. 14. 선고 2000후235 판결

    [1] 특허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 기재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타 도면의 설명에 의하더라도 특허출원 당시 발명의 구성요건의 일부가 추상적이거나 불분명하여 그 발명 자체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없을 때에는 특허권자는 그 특허발명의 권리범위를 주장할 수 없는 것이고, 특허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당사자의 주장이 없더라

    자세히 보기
  • 특허법원 2009. 2. 18. 선고 2007허12961 판결

    [1] 형식적으로 유효한 특허로서 성립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특허발명에 구 특허법(1990. 1. 13. 법률 제4207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9조 제1항에 정한 특허무효사유가 존재하는 것이 이해당사자 사이의 분쟁을 통하여 드러난 제반 증거에 의하여 객관적으로 명백해졌고 이에 따라 그러한 증거를 기초로 특허무효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1. 3. 23. 선고 98다7209 판결

    [1] 실용신안법은 실용신안등록이 일정한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 별도로 마련한 실용신안등록의 무효심판절차를 거쳐 무효로 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등록실용신안은 일단 등록이 된 이상 이와 같은 심판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을 무효로 한다는 심결이 확정되지 않는 한 유효하며, 위와 같은 실용신안등록을 무효로 할 수 있는 사유가 있더라도 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9. 9. 24. 선고 2009후1040 판결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2-366-004451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