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요약
Abstract
Ⅰ. 序
Ⅱ. 檀君神話의 敍事構造에 나타난 動物의 役割
Ⅲ. 곰과 호랑이의 象徵과 그 文化的 脈絡
Ⅳ. 結語
參考文獻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빠진 호랑이
가정의벗
2000 .01
단군신화의 보편적 인간관
한국학논총
2014 .01
남북 호랑이는 똑같이 "어흥!"한다
초등우리교육
1991 .03
남북 호랑이는 똑같이 "어흥!"한다
중등우리교육
1991 .03
日本の「トラ[虎]」にまつわる表現考察 -韓国の「ホーランイ」(호랑이[虎])表現との対照を中心に-
일본언어문화
2014 .01
러시아 연방 극동·연해주 지역 원주민들의 호랑이 민속 연구
한국 시베리아연구
2017 .01
종이 호랑이도 "어흥" 소리칠까?
초등우리교육
1998 .07
시베리아 만주 : 퉁구스족 곰 신화의 양상과 유형에 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2011 .03
단군신화의 정치사상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09 .09
Analisis Struktur Harimau! Harimau! Novel Mochtar Lubis
동남아연구
2012 .01
호랑이 똥
초등우리교육
1999 .10
日韓における虎と熊に関するメタファーの研究
일본근대학연구
2014 .01
동북아시아 곰신화 비교연구 : 한국, 만주, 아이누의 곰신화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
1998 .02
양호교사가 '호랑이'되어야 하는 사연
중등우리교육
1991 .12
양호교사가 '호랑이'되어야 하는 사연
초등우리교육
1991 .12
우리말-어머니와 곰신앙
중등우리교육
1992 .02
우리말-어머니와 곰신앙
초등우리교육
1992 .02
단군신화의 교육학적 재해석
교원교육
2017 .01
시베리아 에벤족의 곰 축제에 대한 연구
동북아 문화연구
2010 .12
0